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최상철의 건축이야기] 각하와 대통령님

각하, '폐하' '전하' 보다 덜해

예전에는 대통령을 ‘각하’라고 불렀다. 이게 영 어색했던지 김대중 대통령은 각하라는 말 대신에 ‘대통령님’으로 고쳐 부르도록 했다. 사실 따지고 보면 각하라는 용어도 왕조시대에는 ‘전하’나 ‘폐하’였다. 모두 다 왕이나 임금 그리고 황제에게 붙이는 극존칭이다.

 

그런데 엄밀히 구분해보면 각하와 전하 그리고 폐하라는 말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황제는 ‘폐하’라고 존칭하는데, ‘폐(陛)’는 ‘섬돌’이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 하나뿐인 천자를 나타낸다. 황제 앞에서는 세상사람 모두 그가 딛고 서있는 섬돌 아래 조아려야 하므로 폐하(陛下)라고 했던 것이다. 그래서 ‘임금폐하’나 ‘왕폐하’라고 하면 어색하고 ‘황제폐하’라고 해야 익숙하게 들린다.

 

또 황제가 되지 못하는 왕이나 임금은 ‘전하(殿下)’라고 한다. 여기에서 ‘전(殿)’은 큰 집을 뜻하는 말로서 흔히 왕이나 부처님이 계시는 건축물에 붙이는 호칭이었다. 우리가 잘 아는 경복궁의 근정전(勤政殿)이나 강녕전(康寧殿) 그리고 사찰의 대웅전(大雄殿)과 미륵전(彌勒殿) 등에 전(殿)이라는 말이 붙어있는 것을 봐도 그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그 크나큰 집의 지붕 밑에 계시는 분을 옛날 왕조시대에서는 ‘전하’라고 했던 것이다.

 

각하(閣下)라는 말도 마찬가지다. 단순한 맞배지붕이나 합각지붕이 아닌 조금 특이한 지붕을 가진 작은 건축물에는 보통 각(閣)이란 명칭을 붙여왔다. 보신각이나 동십자각 그리고 누각(樓閣), 종각(鐘閣) 등이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작고 기이한 지붕 밑에 사는 사람은 각하(閣下)라고 한다. 폐하나 전하와는 그 크기와 중요도에서 확실한 차이가 느껴진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가 뽑은 대통령을 그동안 ‘각하’라고 불러왔다. 우리 민중 모두의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대통령이어서 그렇게 호칭했는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전하나 폐하에 비해서 제대로 대접받지 못했다는 의미가 담겨있는 다소 민망한 존칭이었다. 그래서 ‘각하’를 버리고 ‘대통령님’을 선택한 것은 잘한 일이다. 건축물에 붙이는 명칭으로 보면 그렇다는 얘기다.

 

/최상철(삼호건축사사무소 대표건축사)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새만금 글로벌 K-씨푸드, 전북 수산업 다시 살린다

스포츠일반테니스 ‘샛별’ 전일중 김서현, 2025 ITF 월드주니어테니스대회 4강 진출

오피니언[사설] 진안고원산림치유원, 콘텐츠 차별화 전략을

오피니언[사설] 자치단체 장애인 의무고용 시범 보여라

오피니언활동적 노년(액티브 시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