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진의', 여론변화 등 변수놓고 長考
청와대는 8일 `김무성 원내대표 합의 추대론'이어깃장 난 것을 놓고 장고에 들어갔다.
일단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거부 메시지를 분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진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게 우선이라는 인식에서다.
박 전 대표가 `김무성 카드'를 거부한 것인지, 아니면 당헌.당규에 따라 `합의추대'를 하는 자체에 거부감을 드러낸 것인지를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이번 사안의 경우 당 화합 차원에서 꺼내 든 카드인 만큼 박 전 대표의 거부가 여론의 힘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여론 선점을 통한 압박 전략을 구사할 가능성은 여기에서 나온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어제는 아예 (박 전대표측과) 접촉을 안했다"라며 "이제지켜볼 뿐"이라고 말했다.
여론 추이, 박 전 대표의 정확한 속내 등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과 함께 김무성의원의 독자 출마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는 복잡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박 전 대표를 배제한 국정 운영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으나 아직은 소수파의 견해에 그친다.
이보다는 박 전 대표 포용론에 무게가 실린다.
당장 미디어 관련법을 중심으로 한 `6월 입법전쟁'만 하더라도 박근혜 전 대표측의 지원이 절대 필요하다.
더욱이 10월 재보선, 내년 6월 지방선거 등의 정치 일정을 감안하면 당내 단합을 통한 조기 전열 재정비가 무엇보다 절실하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은 한나라당 차원에서 박희태 대표가 화합의취지로 제안해 추진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관계자는 "사실 `김무성 카드'는 다른 의도 없이 정말 당 화합 카드로 순수하게 나온 것"이라며 "괜찮은 카드라고 생각했는데 저렇게 나오니까 할 말이 없다"고 아쉬워했다.
정치적 의도없이 `4.29 재보선' 참패의 후유증 극복과 당의 화학적 융합을 위해진정성을 갖고 제안한 것이라는 얘기다.
더욱이 이번의 경우는 청와대가 아닌 박 대표 주도로 이뤄진 것인만큼 친이(親李.친이명박).친박(親朴.친박근혜)간 계파 시각이 개입돼선 안된다는 의견이 적지않다.
청와대가 `김무성 카드'에 계속 미련을 두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박 전 대표와의 진정성을 공통분모로 향후 국정운영 과정에서 협조적 관계를 유지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청와대측의 기대이기도 하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