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6.25 이후 6단계 정리 '남북관계 변천사' 발간

6.25전쟁 이후 현재까지 남북관계 흐름을 6단계로 나눠 정리한 책이 발간됐다.

 

2000년 1차 남북정상회담 때 기획통제실장을 맡았던 김형기 전 통일부 차관은 최근 발행된 '남북관계 변천사'(연세대학교 출판부. 495쪽. 2만2천원)에서 6.25 이후 남북관계를 '폐색기', '태동기', 정립기', 화해협력 모색기', 화해협력 진입기', '조정기'의 6단계로 구분했다.

 

1단계는 전쟁 후 1969년까지 '남북관계 폐색기'로, 양측은 상대방을 인정하지 않은채 타도의 대상으로 삼아 배타적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고, 2단계는 1970∼1979년의 '남북관계 태동기'로 국제적 데탕트 물결 속에 7.4남북공동성명이 체결됐다.

 

3단계는 1980∼1987년의 '남북관계 정립기'로 미얀마 폭파사건 등에도 불구하고 적십자, 국회, 경제, 체육 등 분야에서 남북 회담이 열렸고, 4단계는 1988∼1997년의 '화해협력 모색기'로 노태우.김영삼 정권 시절 '기본합의서' 체결 등에 힘입어 남북정상회담이 성사 직전까지 갔다.

 

5단계는 1998∼2007년의 '화해협력 진입기'로 김대중.노무현 두 정권에 두 차례 정상회담이 열려 금강산 관광과 남북간 철도.도로 연결 등 중요한 진전이 이뤄졌고, 6단계는 2008년 이후 '남북관계 조정기'로 이명박 정부가 새로운 남북관계 설정 의지를 밝혀 현재에 이르고 있다.

 

김 전 차관은 미래의 남북관계를 위해 "어떤 경우에도 북한을 '대화의 장'에 묶어 둬야만 남북관계사의 흐름을 컨트롤하면서 민족공동체 완성의 소명을 다할 수 있다"면서 "북한의 의도를 먼저 분석하고 대처 방안을 찾기보다 남북관계를 어디로 끌고 가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정한 뒤 그에 맞게 상황을 리드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1977년 옛 통일원에 들어와 2003년 차관으로 공무원 생활을 마칠 때까지 26년간 남북관계 정책 수립에 깊숙이 참여하고 직접 회담에 나가기도 했던 그는 19일 오후 서울 서초구 외교센터에서 출판기념회를 가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군산서 흉기 들고 거리 돌아다니던 60대 검거

정치일반이틀째 밤샘수색에도 울산화력 실종자 2명 못찾아…수색 계속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노인 임플란트 지원근거 마련

김제김제시 자전거 서포터즈 ‘따르릉 탐험대’ 발대식

임실제10회 임실 아삭아삭 김장페스티벌 SNS에 참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