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 결정 이틀 앞으로
강원도 평창의 운명을 가름할 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 결정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오는 6일 자정(이하 한국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제123차 IOC 총회에서 평창과 뮌헨(독일), 안시(프랑스) 등 3개 후보도시를 놓고 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를 최종 결정한다.
IOC 위원들은 이날 뮌헨과 안시, 평창 순으로 진행되는 후보도시들의 최종 프레젠테이션를 들은 뒤 오후 10시30분부터 무기명 전자투표를 실시한다. 1차 투표에서 과반득표(투표인단 기준)한 곳이 나오지 않을 경우 1차 투표에서 1~2위를 차지한 도시를 대상으로 2차 투표를 실시해 1표라도 앞선 도시가 최종 개최지로 선정된다. 결과는 자크 로게 IOC위원장이 이날 자정 직접 발표한다.
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투표에 나설 IOC 위원은 전체 110명 가운데 대략 95~98명선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크 로게 위원장과 3개 후보도시 위원 6명은 투표권한이 없고 일부 위원의 불참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외신들은 이번 동계올림픽 개최지 유치 경쟁에서 평창이 다소 앞서고 있기는 하지만 뮌헨과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을 정도로 치열할 접전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평창은 대부분의 경기장이 선수촌과 30분이내 거리에 위치해 있는 입지조건과 변방이나 다름없는 아시아지역의 동계스포츠 발전이라는 명분, 92%가 넘는 국민들의 뜨거운 지지 열망 등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눈을 구경할 수 없는 국가의 청소년들에게 동계스포츠를 경험케 하는 '드림프로그램'을 8년째 시행하고 있고 지난 두 차례의 유치 도전에서 약속했던 스키 점프장 등 총 13개 경기장중 이미 7개를 건설하는 진정성을 보임으로써 외신들로 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이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평창유치위원회도 IOC 위원 표심잡기에 막바지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지난 1일 더반에 입성한 평창유치위원회 대표단은 총회에서 있을 마지막 프레젠테이션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이번 프레젠테이션이 아직도 마음을 정하지 못한 IOC 위원들의 막판 표심을 잡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 '뉴 호라이즌(New Horizons)'이라고 불리는 평창의 비전을 감동있게 전달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양호 유치위원회 위원장과 박용성 대한올림픽위원회(KOC )위원장, 김진선 유치 특임대사 등 평창 PT 대표단은 3일 IOC 본부로 쓰이는 힐튼호텔에서 일반 대표단 90명을 앞에 놓고 4시간에 걸친 1차 리허설을 통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PT를 완벽하게 소화하는데 주력했다.
세계적인 '피겨 여왕' 김연아 선수는 6일 있을 최종 PT에서 평창동계올림픽을 개최함으로써 동계스포츠의 불모지인 많은 아시아의 젊은 선수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줬으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전달, 표심을 얻는다는 전략이다. 이 자리엔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출연, 영어로 한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다시 한 번 역설하며 IOC 위원들의 지지를 호소할 계획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