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코피 환자 6세 남자 어린이 최다"

비강의 점막 손상에 의한 출혈인 코피는 취학전후의 만 6세 남자 어린이에게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6∼2010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마다 코피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6만∼29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고17일 밝혔다.

 

지난해에는 총 29만2천명의 환자 가운데 남성이 17만1천명, 여성이 12만명으로 남성 환자 비율이 다소 높았다.

 

연령대별 인구 10만명당 코피 질환자를 보면 남성은 9세 이하가 1천610명으로 가장 많았고, 10대(1천214명), 80대 이상(1천145명) 순이었으며, 여성도 9세 이하(1천114명), 10대(825명), 60대(581명) 순으로 9세 이하 어린이층의 환자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다.

 

9세 이하 어린이층의 환자수 분포를 연령별로 보면 0세는 70명, 1세는 514명, 2세는 937명, 3세는 1천256명, 4세는 1천576명, 5세는 1천863명이었으며, 6세가 2천13명으로 정점에 이른 뒤 이후 연령대부터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인 7월(42.2명)과 8월(39.2명)에 환자 수가 적었고, 봄철인 3∼6월(67.1∼72명)에 진료 환자가 크게 늘었다.

 

코피의 원인은 크게 물리적 자극에 의한 외상, 감염 등에 의한 염증질환, 혈우병, 백혈병, 혈소판 감소증 등의 혈액 질환 그리고 고혈압, 간장 질환 등의 순환장애 등이 있다.

 

그 밖에 급성 열병, 급격한 기압변동 그리고 콧속에 생긴 신생물(종양) 등이 원인이지만, 가장 흔한 것은 코를 후비거나, 급만성 비염 또는 감기가 있을 때 코를 세게 풀면 나타나는 외상에 의한 경우로 특히 어린아이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성인은 어린아이와 마찬가지로 외상에 의한 경우가 많지만, 고혈압과 간질환에서 동반되는 경우도 많다.

 

또 외상에 의한 경우라도 비중격 만곡증, 비용종(콧속에 생기는 물혹) 드물게 악성 종양 등과 동반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반복되면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하다. 봄철에 환자가 많은 이유는 건조한 날씨 때문에 점막이 손상되기 쉽기 때문이다. 코피 치료에는 심리적인 안정과 함께 환부 압박을 통한 지혈이 중요하다.

 

어린아이는 대부분이 혈관이 모여 있는 코 앞쪽에 코피가 나오기 때문에 코를세게 풀지 않도록 하고 솜뭉치를 비교적 크게 만들어 코피가 나오는 콧속에 넣고 콧등의 아래쪽에 있는 연골부위를 압박해야 한다.

 

머리를 앞으로 숙이게 한 후 몇 분간 기다리면 대개 지혈되거나 코피 양이 줄어든다.

 

동시에 코에 얼음이나 찬물을 이용한 찜질을 하는 것도 코피를 멎게 하는 데도움이 된다.

 

어른의 경우 같은 방법으로 지혈을 시도해도 효과가 없고 피가 목으로 넘어가거나 넘어가는 코피의 양이 줄어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고혈압이나 간질환과같은 원인질환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의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전문의 장정현 교수는 "코피 예방은 코를 건드리는 습관을 교정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면서 "코 점막이 건조해지면 코피가 많이 생기기 때문에 집에서는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코피를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만평[전북만평-정윤성] 정년연장 필요성!..그러나…

정치일반李대통령 “소방공무원 헌신으로 평범한 일상 가능…걸맞은 예우 다할 것”

전주금요일 오후 2시 퇴근…전주시, 주 4.5일 근무제 시범 운영

정치일반더민주전북혁신회의 3기 출범

국회·정당여야, 소방의날 맞아 "소방 공무원 헌신에 감사"…제도지원 약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