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14회 전주영화제가 남긴 과제 (상)사업비 확보

세금 폭탄에 영화발전기금 삭감 이중고

고석만호(號)로 꾸려진 제14회 전주국제영화제(4월25일~5월3일)가 절반의 성공을 거두며 첫 심판대를 아슬아슬하게 넘겼다. 그러나 이 고비를 넘겼더라도 내년 15회를 맞는 전주영화제와 조직의 안정적 운영이라는 지뢰밭이 남아 있다. 올해 세금 폭탄을 맞으며 휘청거렸던 조직위원회는 사업비 확보와 함께 영화제의 중장기 비전을 세우는 것을 과제로 남겼다. 특히 영화제 광고료 과세에 이어 최근 해외 감독 지원금에 대한 세금이 소급 부가되면서 만성적인 재원 부족이 우려되고 있다. 전주영화제가 남긴 과제를 두 차례로 나눠 다룬다.

 

"충분히 예상했으나, 충분히 예상하지 못했다."

 

지난 3일 전주영화제 폐막 기자 회견에서 김영진 전주영화제 수석 프로그래머의 답변이 이것을 잘 말해준다. 새로운 스태프들로 꾸려진 전주영화제의 안정적 운영은 애초부터 어려운 문제였다. 그러나 문제는 엉뚱한 데서 터졌다. 조직위가 전주세무서로부터 영화제 광고료 수입을 놓고 부가가치세 과세(課稅)와 면세(免稅)를 번복하며 '세금 폭탄'(3억2000만원)을 맞아 영화제 살림살이가 더 팍팍해졌던 것. 전주시는 전주세무서를 상대로 행정심판을 제기했으나 국세청이 지난 3월 전주세무서에 손을 들어주면서 행정심판 상급기관인 국세심판원으로 넘어간 상황. 결정이 나오려면 6개월 정도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전주영화제는 또다시 전주세무서로부터 세금 1억여 원을 납부하라는 통지서를 받았다. 조직위가 3명의 해외 감독들에게 5000만원 씩 지원해 디지털 영화를 제작해오도록 한 '디지털 삼인삼색'에 붙는 세금을 납부하지 않아 환산 가능한 5년치를 소급해 내도록 한 것. 전주영화제 측은 그러나 이의 신청을 하지 않고 납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게다가 전주영화제는 올해 문화체육관광부의 영화발전기금(국비)도 5000만원이 삭감된 6억5000만원을 지원받았다. 예산 삭감의 이유는 지난해 프로그래머 해임 파문으로 촉발된 조직위 전면 쇄신으로 조직이 불안정했다는 것. 세무서의 오락가락 행정으로 세금을 납부해야 했던 조직위는 자체 부담한 까닭에 3억여 원이 줄어든 32억7000만원(지난해 35억6000만원)으로 영화제를 치러야 하는 벽에 부딪쳤다. 그 결과 올해 전주영화제에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발견할 수 없었다. 대신 다양한 영화평론가의 깊이 있는 해설이 곁들여지는 '시네마 톡'이 프로그래머들의 인맥으로 기획 돼 관객들이 배우며 성장하는 영화제라는 사실을 재확인하는 정도에 그쳤다. 내년 15회를 맞는 전주영화제가 적어도 예산 때문에 특별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없었다는 이야기가 나오지 않으려면 예산 확보는 각별히 신경써야 할 대목이 됐다.

 

부산영화제 스태프들이 전주영화제로 합류하면서 장기적으로 스태프들이 이탈되고 조직이 불안정해질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는 다행히 기우에 그쳤다. 부산영화제에서 활동했던 이상용 프로그래머와 스태프로 활동했던 안영수 제작배급실장이 JIFF로 포섭됐고, 기술·자막팀이 부산영화제와 전주영화제를 오가며 순환 근무를 하고 있으나 일단 영화제 운영에 차질을 빚을 만큼 큰 문제는 되지 않고 있다. 다만, 전반적으로 전주영화제 스태프 임금이 국내 5대 영화제와 비교해 평균 70%에 그친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스태프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처우 개선은 필요해 보인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읍‘제1회 정읍농협조합장배 축구대회’ 성료

오피니언[새벽메아리] 2024년 한국 체불임금 일본보다 52배, 미국보다 42배 많다

익산‘방문객 1만 명 돌파’ 익산시민역사기록관, 기록문화 플랫폼 자리매김

국회·정당민주당 익산갑 지역위원장에 송태규씨 내정

임실임실군, 10월 관광객 129만명 역대 최고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