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4%로 전국 평균의 2배…아동도 2만명 / 대물림 현상 높아져 돌봄안전망 구축 시급
전북지역 아동·청소년들의 빈곤율이 전국 평균보다 두 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빈곤이 아동·청소년들에게 대물림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3일 전북발전연구원이 발표한 이슈브리핑에 따르면, 도내 15~19세 청소년의 빈곤율(전체 기초수급자 대비 인구비율)은 9.24%로 전국 평균 4.76%보다 두 배 가량 높았다.
또 도내 빈곤아동(기초생활수급아동)은 약 2만명으로 전체 빈곤인구 대비 22.1%, 전체 아동대비 6.8% 수준이며, 9~12세 연령에서 아동빈곤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아동·청소년의 부모 세대인 40~50대 청장년의 높은 빈곤률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도내 청장년 빈곤 인구는 모두 3만7404명으로 전체 청장년 인구의 3.5%, 전체 빈곤인구의 41.6% 차지하고 있다. 특히 50대의 중장년층의 높은 빈곤률이 전북의 높은 아동 빈곤률을 견인하고 있다는 게 전북발전연구원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도내 19세 미만과 함께 생활하는 기초생활수급자 가구 중 4인 이상 가구의 비율은 8.23%로 광주, 제주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빈곤의 대물림 현상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이유다.
전북발전연구원은 이 같은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가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여성정책연구소 사회복지팀 이중섭 박사는 “청장년의 경우 고용복지통합과 사회서비스 중심 일자리 지원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관련 사업의 우선 순위를 정비해야 한다”면서 “아동의 경우, 농촌지역 방과후 돌봄확대, 부처 간 돌봄안전망 연계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관련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 박사는 “특히 아동 방과후 돌봄 사업은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일부 농촌지역이 인프라 불균형으로 서비스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교육청의 돌봄교실과 체계적인 연계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전라북도의 복지정책은 크게 중앙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복지정책의 방향을 따르되, 중앙정부의 정책범주에 속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세부적인 실천전략을 수립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