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시간제근로자 10년간 76% 늘었지만 상용직 고작 9%"

대부분 중소기업서 일해 일자리 질 낮아…98% 유급휴일 미적용

지난 10년간 시간제 근로자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76% 늘었지만 사회보험 가입률 등 일자리의 질은 전일제 근로자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통계청의 2004∼2013년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담은 '지난 10년간 시간제 일자리의 질적 변화' 보고서를 29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4년 107만 2천명이던 시간제 근로자는 2013년에 188만 3천명으로 81만 1천명(76.3%) 증가했다.

 임금근로자 중 시간제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7.4%에서 10.3%로 2.9%포인트 늘었다.

 시간제 근로자는 대부분 중소기업에 몰려 있었다.

 5인 미만 사업체에 종사하는 비율은 43.5%인 반면, 300인 이상 대기업은 2.8%에 그쳤다.

 증가 폭도 중소기업이 컸다.

 분석 기간 5∼10인 미만 사업체에서는 시간제 근로 자가 90.9% 늘었다.

 10∼30인 미만 사업체는 83.7%, 30∼100인 미만 사업체는 95.0%의 증가율을 보였다.

 일자리의 질도 좋지 않았다.

 시간제 근로자 중 상용직 비율은 2004년 1.8%에서 2013년 9.2%로 늘었다.

 같은 기간 전일제 근로자 중 상용직 비율은 56.8%에서 71.3%로 증가했다.

 2013년 기준으로 시간제 근로자 중 61.4%는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채 일했다.

 91.2%는 시간외 수당을 적용받지 못했고, 유급휴일을 적용받지 못하는 비율은 98.2%나 됐다.

 국민연금(24.0%)·고용보험(20.9%)·건강보험(25.0%) 가입률은 전일제 근로자의 절반 수준이었다.

 전일제 근로자들의 50.5%는 고용보험에 가입했고,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에는 각각 44.7%와 42.1%가 가입했다.

 노조가입률은 시간제 근로자가 0.6%, 전일제 근로자가 13.7%였다.

 보고서는 "시간제 근로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위주여서 근로자의 권익보호가 미흡하다"며 "고용률 70%를 달성하려면 정부의 재정·컨설팅 지원 등을 통한 중소기업 시간제 일자리의 질 향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7명 매몰 추정"

정치일반전북도, 관광 슬로건 공모 ‘HEY! 전북여행’ 최우수상 선정

영화·연극제4회 민족민주전주영화제 14일 개막

완주‘모악산 웰니스 축제’서 힐링‧낭만을

장수장수군, 홍보대사 최재명 참여 홍보송 ‘장수좋다’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