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사스예방 모범국' 이끌고…질병본부 만들고…

전북출신 고건 前 총리·박철곤 노동심의관 대책 새삼 주목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면서 정부의 방역대책이 12년전(2003년) 중국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파문 당시보다 훨씬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따라 전세계적으로 사스예방 모범국으로 평가받을 당시, 지휘봉을 쥐었던 전북 출신 고건 전 총리와 박철곤 총리실 복지노동심의관의 대책이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은 당시 중국·대만 등 아시아 나라들이 큰 피해를 입었던 것과 달리 초기 방역에 성공해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사스 예방 모범국’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12년 전 사스 사태를 회고한 고건 전 국무총리의 글이 뒤늦게 주목받는 이유다.

 

그는 2013년 중앙일보에 ‘고건의 공인 50년’이란 제목의 회고록을 연재했는데 그중 노무현정부 때 벌어진 사스 사태를 회고하는 ‘사스 대책’을 올린 바 있다.

 

고 전 총리는 총리로서 직접 사스 문제를 챙기기로 마음 먹은 이유에 대해 “(2003년) 4월 사스 환자를 치료하던 홍콩 의사가 죽었다는 보도를 봤다. 심각하다 느꼈다. 직접 챙겨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고 했다.

 

고 전 총리는 복지부 주도의 사스 방역대책본부로는 역부족이라고 판단했다면서 “상위 부처인 국무조정실이 나서 국방부, 행정자치부 등 관련 부처를 총동원해야 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당시 복지노동심의관으로 상황실 부실장을 맡은 박철곤씨는 “공항 현장에 가봤더니 입국자 체온을 측정하는 열 감지기가 한 대 뿐이었다. 일일이 체온을 재기엔 입국자가 너무 많았다. 복지부에 예비비를 지원했고 서둘러 이동식 열 감지기 10대를 구입했다”고 말했다. 사스를 성공적으로 제압하고 난뒤, 만든 조직이 2004년 1월 19일 정식 출범한 질병관리본부다.

위병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