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사퇴시한 6일로 정해 / 비박은 거부, 與 최고위 파행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진퇴를 둘러싼 ‘유승민 정국’이 일주일째를 맞고 있으나 갈수록 갈등이 커지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겉으로 언급을 아끼면서 애써 태연한 표정이나 속으론 불쾌한 분위기가 강하게 흐르고 있다.
친박계가 오는 6일을 유 원내대표 사퇴의 ‘데드라인’으로 설정했으나 비박계는 사퇴를 반대하면서 자칫 양측의 충돌도 우려된다.
친박계는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이 재의 절차를 밟는 6일 국회 본회의때까지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지 않을경우 낙마시키겠다는 확고한 입장이다.
하지만 비박계는 전혀 다른 상황인식을 보이고 있다.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놓고 최고위원 사이에 고성이 오간 끝에 회의가 파행으로 끝났다.
김태호 최고위원이 “오늘이 마지막 고언이 되길 바란다”며 사흘째 ‘유승민 사퇴론’을 집요하게 거론하자 김무성 대표가 불쾌하다는 듯 자리를 박차고 일어났다. 원유철 정책위의장은 “해도 너무한다”며 김 최고위원 등이 유 원내대표를 ‘토끼몰이’하듯 닦아세운다고 성토하기도 했다.
청와대에서는 적어도 6일까지 가급적 언급을 삼가자는 기류가 강하지만, 3일 운영위원회에서 야당 의원들은 청와대의 입장을 끈질기게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유 원내대표가 시간을 두고 ‘출구전략’을 찾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지만, 한 비박계 의원은 “나갈 생각이 없는데 출구전략이 있겠느냐”고 정면 반박하고 있다. 이처럼 양측의 견해가 첨예하게 부딪치지만 만일 사태가 길어지면 당청관계가 파국으로 치닫고 당의 분열이 극심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유 원내대표가 ‘대승적 결단’을 내릴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