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문인 70여명, 라대곤 추모문집 〈어서오소서〉 발간

"문단의 복주머니…문학 발전 헌신 기억해야" / 수필·시 등으로 고인과 추억 그려

“낭만적이고, 해학적이며, 문학에 대한 열정이 넘쳤다.”

 

1982년 문단에 데뷔해 수필가 소설가 동화작가로 활동했던 신곡 라대곤(1940~2013) 선생. 고인은 특히 <수필과 비평> 을 이끌고, 신곡문학상을 제정하는 등 수필문학발전에 헌신했다. 문학적 업적뿐 아니라 선후배 문인을 두루 살피는 인간적인 면모도 보였다.

 

동료·후배들이 이달초 김제 청운사에 추모비를 건립한데 이어 추모문집 <어서오소서> (수필과비평사)를 엮었다. ‘라대곤추모문집발간위원회’가 엮은 문집에는 70여명의 문인이 참여했다.

 

문인들은 시와 수필, 소설, 평론 등 다양한 글쓰기 방법으로 고인과의 추억을 들췄다. 특히 고인의 인간애와 포옹력을 깊이 간직하고 있는 이들이 많다.

 

김남곤 시인은 “라 회장은 자신의 인화력과 포옹력의 결과였겠지만 언제나 사람을 주렁주렁 달고 다니는지 샘이 날 정도였다”며 고인의 인간애를 추억했다. 김제김영 시인도 “권위적이지 않았고, 높임 받기를 좋아하지 않아 문단의 후배들과 자주 어울렸다”면서 “든든한 버팀목”이었다고 기억했다.

 

김용옥 시인은 “선생은 문단의 복주머니이자 딴주머니였다”면서 “ <수필과 비평> 이 상당한 숫자의 수필가를 생산한 수필잡지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사람 라대곤이 시간과 재물, 인간성을 투자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성공한 사업가였지만 문학에 대한 남다른 열정도 동료 문인들에게 귀감이 됐다. 정종명 <계간문예> 발행인은 “그의 소설은 힘있는 문장으로 막히지 않고 술술 이야기를 풀어내는 구수한 입담이 독자의 마을을 사로잡는 마력을 발휘했다”며 “우리나라에서는 흔치 않은 해학소설의 묘미와 익살을 잘 보여주는 작가였다”고 했다. 김년균 시인도 “선배님은 문장에서도 높다란 성을 쌓았다”면서 “걸쭉하고 구성진 입담은 절창이자 명품이었고, 내일을 꿈꾸는 자의 가슴에 오롯이 남아있다”고 추모시 ‘별처럼’에서 밝혔다.

 

추모문집에는 문효치 서재균 소재호 이운룡 정군수 조기호 시인 등 문단의 원로와 중견작가가 두루 참여했다. 특히 <수필과 비평> 을 통해 등단한 작가와 신곡문학상 수상자들이 회고하는 고인의 모습은 더욱 살뜰하다.

 

서정환 <수필과 비평> 발행인은 “신곡 선생은 많은 문인들에게 잊을수 없는 강렬한 흔적과 한 없이 그리운 이미지를 만들어놓았다”면서 “그의 문학이 담보하고 있는 깊이와 의의에 대해 문학사에서 다시 평가되고 자리매김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은수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엔비디아 GTC 현장을 가다] ①산업 재편과 문명적 도약 예고한 젠슨 황

만평[전북만평-정윤성] 정년연장 필요성!..그러나…

정치일반李대통령 “소방공무원 헌신으로 평범한 일상 가능…걸맞은 예우 다할 것”

전주금요일 오후 2시 퇴근…전주시, 주 4.5일 근무제 시범 운영

정치일반더민주전북혁신회의 3기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