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연말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 기승

"햇살론으로 갈아타게 해준다"…대포통장으로 송금 유도 / 올들어 107억 피해…금감원·방통위, 주의문자 발송키로

금융회사를 사칭하며 대출을 해줄 것처럼 속인 뒤 돈을 뜯어내는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금융당국은 자금 수요가 많은 연말연시에 더 조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11일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1~11월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는 1179억원이었다. 월평균 100억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하는 셈이다.

 

경찰·검찰 등 정부기관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해 월평균 117억원에서 올해 들어 45억원으로 대폭 줄었다.

 

그러나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의 월평균 피해액은 지난해 87억원에서 올해 107억원으로 증가했다.

 

대출빙자형은 대출을 해주겠다면서 사기범 계좌(대포통장)로 보증료, 수수료 명목의 송금을 유도한다.

 

금융회사 사칭 수법이 무척 정교해 실제 대출광고인지 보이스피싱인지 구별하기 어려워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햇살론 등 저금리의 정책금융 상품으로 대출을 갈아타게 해주겠다며 기존 대출금을 사기범이 지정하는 대포통장으로 송금하게 하는 신종 수법이 나타나 1인당 피해 금액이 커졌다.

 

지난 10월 실제 일어난 피해 사례를 보면, A 캐피탈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연 6%대 금리로 햇살론 대출이 가능한데 현재 신용등급이 낮으니 기존의 저축은행 대출금 1800만원을 상환해 등급을 올려야 한다고 꾀었다.

 

사기범은 “기존 대출금을 우리가 불러주는 계좌로 상환하면 햇살론으로 대환처리해주겠다”고 속여 1800만원을 입금받은 뒤 잠적했다.

 

금감원은 전화나 문자로 대출을 권유하면서 어떤 명목이든 입금을 요구하면 ‘100% 사기’라고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특히, 햇살론 등 정책금융 상품은 반드시 금융회사 영업 창구를 직접 방문해 신청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정성웅 금감원 불법금융대응단장은 “연말연시에는 자금수요가 늘어나는 서민들의 사정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시도가 많아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감원과 방송통신위원회는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문자메시지를 이동통신사 명의로 발송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