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정치제도 개선책 제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거제도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게 일고 있는 가운데 전북지역에서도 시민사회단체들이 공동행동에 나섰다. 정당이 얻은 득표수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는 권역별 연동형비례대표제, 지역정당 설립 허용, 18세 투표권 부여 등을 요구하며 홍보캠페인, 1인 시위, 온라인 행동 등 다양한 시민행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를 비롯한 도내 31개 시민사회단체는 16일 전북도의회에서 ‘정치개혁 전북공동행동’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민의를 왜곡하는 선거제도 개혁을 위해 함께 힘을 모아나갈 것을 천명했다.
전북공동행동은 이날 회견에서 “우리 국민은 지난 겨울 촛불 혁명으로 불의한 권력을 탄핵하고 정권교체를 이뤄냄으로써 민주주의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며 “그러나 유권자의 표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현재의 잘못된 선거제도를 포함한 정치제도를 개혁하지 않고는 완전한 적폐청산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어 “잘못된 선거제도는 유권자의 표심을 심각하게 왜곡해 거대 기득권 정당들의 정치독점의 원인이 되어왔다”며 “영호남 지역주의에 기대어 거대 정당들이 정치를 독점하고 있는 현행 정치제도를 시급히 개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북공동행동은 “정치의 주인은 기득권 정당 권력이 아니라 시민들”이라고 강조한 뒤 “민의를 온전히 반영하는 ‘연동형비례대표제 실시’등 국민참정권 확대를 포함한 3대 의제, 11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활동을 벌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