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예대금리 차이 3년 2개월 만에 최대

가계대출 금리, 3년 4개월 만에 최고…주택담보 3.47%

예금금리는 내렸는데 대출금리만 상승하며 예대금리 차가 3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가계 대출 금리는 2014년 9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8년 1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보면 예금은행 대출금리(이하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69%로 한 달 전보다 0.07%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11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1.50%로 올리고 올해에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되며 대출금리는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난달 예금은행 대출금리는 2015년 2월(3.86%) 이후 가장 높았다.

 

가계대출 금리는 3.71%로 0.1%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금리도 2014년 9월(3.76%) 이후로 최고였다.

 

주택담보 대출 금리는 3.47%로 0.05%포인트 올랐다.

 

집단대출(3.45%)도 0.02%포인트, 보증대출(3.62%)은 0.13%포인트, 예·적금 담보대출(3.06%)은 0.05%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다만 일부 은행이 저금리 단체 협약 대출을 취급한 여파로 일반 신용대출 금리(4.47%)는 0.02%포인트 내렸다.

 

기업 대출금리는 3.68%로 0.0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5년 5월(3.71%) 이후 가장 높다.

 

대기업 대출(3.33%)이 0.05%포인트, 중소기업 대출(3.92%)이 0.06%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은 28.8%로 0.1%포인트 떨어졌다.

 

고정금리 비중은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 연속 30%를 밑돌고 있다.

 

오름세를 보인 대출금리와 반대로 수신금리는 내렸다.

 

단기 정기예금을 중심으로 예금은행 저축성 수신금리는 연 1.80%로 0.01%포인트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 인상 기대가 있으면 시중 여유 자금을 단기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아 단기 금리가 낮아진다”며 “반면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은 주로 장기 금리에 연동되는 경우가 많은데 장기 금리는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대출금리는 오르고 수신금리는 내리면서 은행 총대출금리와 총수신금리 차이인 ‘예대금리차’는 잔액 기준으로 2.32%포인트로 확대됐다. 이는 2014년 11월(2.36%) 이후 최대다.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금리는 상호저축은행(10.50%→11.42%), 신용협동조합(4.73%→4.75%), 상호금융(4.04%→4.06%), 새마을금고(4.08%→4.13%)에서 모두 올랐다.

 

예금금리는 상호저축은행(2.50%→2.47%)만 내렸을 뿐 신용협동조합(2.25%→2.28%), 상호금융(1.89%→1.90%), 새마을금고(2.21%→2.26%)는 올랐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고창심덕섭 고창군수, 김병기 원내대표·한병도 예결위원장 만나 지역 핵심사업 건의

정치일반정년 1년 늦추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미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