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우량업체 부족·저임금 복리후생 열악 탓
타 시도보다 공무원·공기업 취업준비생 많아
노동시장 유연성·안전성 강화 정책 추진 필요
상반기 공채 시즌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전북지역 청년들의 중소기업 기피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량기업이 턱없이 부족한 전북은 그만큼 일자리의 질도 낮아 주요 대기업 공채가 끝난 이후 청년 인구 유출도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북청년들은 대부분 타 지역보다 더 많은 공무원, 공기업 준비생들로 붐비고 있다. 도내 서점가는 불황에도 공공기관 직무적성검사 교재는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전주시내 한 서점 대표는“일반서적은 정말 안 팔리는 데 혁신도시 공공기관 시험에 필요한 직무적성검사 문제지는 재고가 부족해서 못 팔 수준”이라고 전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공무원과 공공기관 입사를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이 유독 많은 전북은 비경제활동인구가 올 3월 기준으로 63만8000명에 육박하고 있다. 도내 청년들은 ‘중소기업 일자리는 질이 낮다’고 인식한다.
그러나 전북지역 사업체 가운데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98% 이상에 이르고 있어 비경제활동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청년들은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이유로 낮은 임금과 복리후생 수준을 꼽고 있다. 정부에서 아무리 지원해 줘봤자 임금지원은 한시적이며, 밑 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인식도 강하다. 청소년들도 공무원과 공기업을 미래직장으로 꿈꾼다.
실제 통계청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18 청소년 통계’ 조사 결과 지난해 13~24세 청소년들이 가장 근무하고 싶어하는 직장은 국가기관으로 조사됐다.
청소년 4명 중 1명이 공무원을 희망 직업으로 꼽았다. 공기업(18.2%) 대기업(16.1%)이 뒤를 이었다. 국가기관과 공기업 선호도를 합하면 43.4%로 절반에 가까운 청소년들이 직업안정성이 높은 공공부문을 장래 희망 직장으로 꼽은 셈이다.
취업준비생 임수현 씨(27)는“취업을 늦춰가면서까지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것은 연봉이 높은 대기업에 매달리는 게 더 유리하기 때문”이라며“이직이라는 방법이 있지만, 그것도 첫 직장의 수준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실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3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첫 직장의 규모가 향후 임금 수준에 큰 영향을 미쳤다. 100명 이상 사업장에서 일하는 직장인들은 그보다 작은 규모의 사업장 종사자보다 1~2년 차때 약 13% 높은 임금을 받았고 9~10년차에도 9% 정도 많은 임금을 받았다.
또 첫 직장에서 상용직으로 근무하면 1~2년차 때 임금이 임시·일용직인 경우보다 약 14% 높았다. 9~10년차가 되면 약 15%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KDI 관계자는 “청년취업인턴제나 취업성공패키지처럼 단기실적 위주의 청년 고용대책을 개선해야 한다”며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유연성과 안전성을 강화해야 청년 취업시장의 문이 넓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