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민예총, 14개시군 문화예술인 의견 자료집 펴내
다양한 의견 지방선거 후보자들 공약으로 활용 가능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문화예술과 관련한 공약을 내세운 출마자들은 많지 않다. 전북에 꼭 필요한 문화예술 정책은 무엇일까. 여전히 ‘정책’보다 ‘산업’에 관심이 크고, ‘관광’과 ‘레저’에 순수분야와 예술인들의 삶이 가려지는 2018년, 도내 14개 시·군 문화·예술인들이 직접 현장에 필요한 관련 정책을 제안했다. (사)전북민족예술인총연합(회장 이기홍)이 최근 열린 ‘2018 문화정책 대토론회’에서 나온 내용을 바탕으로 자료집 <전라북도와 14개 시·군에 선사하는 들꽃 같은 문화정책> 을 냈다. 전라북도와>
△도민 생활 문화예술 향유 확대
시민이 창작자가 돼 문화예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그 장을 직접 만들고 확대·재생산하고 있다. 더욱 다양한 계층이 이를 향유하며 삶의 질을 높이길 바란다는 제안이다.
이에 따라 생활문화 공간 맵핑 어플 제작 및 보급,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노동자의 문화예술 여가활동 지원, 어린이 전용극장과 도서관 문화 공간화 사업 등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 확대, 어르신 일자리 사업과 예술가 파견 등 고령세대를 위한 정책, 농도 전북의 농민을 대상으로 한 농민퇴임식 개최 등이 제안됐다.
△순수예술 및 예술인 질 향상
예술인의 임금 등 활동 품셈 및 일위대가표 제정, 기획 주체와 공연 주체 간의 계약서 상용화, 지역 예술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저금리 대출 등이 제안됐다.
지원 및 복지를 위한 조례제정 및 절차 마련이 필요하고, 단순히 ‘거리예술 활성화’보다는 ‘공공예술 또는 문화예술 후원 활성화’ 등 구체적인 근거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역 특성에 맞는 청년 예술인 지원 정책, 지역 콘텐츠를 홍보할 수 있는 젊은층의 전문 리더 양성 등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 문화 격차 해소·안정화
군산시 등 일부 시·군에서 비슷한 내용의 사업이 각기 다른 과에서 진행돼 이를 통합하고 문화 행정을 전담하는 운영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문화인력 양성과 파견 사업이 장기적 관점에서 진행돼야 하고, 중간 지원조직으로 각 지역 문화재단들이 지역 친화적 문화예술정책 만들기에 앞장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문화 행사장 이동이 어려운 어르신을 위한 농어촌 콜버스 운영, 다문화 이주여성을 위한 상호교류 문화활동, 읍·면에 군민을 위한 작은 문화공간 조성 등도 제안됐다.
최기우 전북민예총 정책위원장은 “각 장르와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년 문화예술인들의 생생하고 진솔한 제안”이라며 “정책 하나, 번뜩이는 생각 하나, 문장 한 줄, 단어 하나라도 마음 닿는 내용이 있다면, 후보자들은 마음껏 활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자료집은 최명희문학관 홈페이지(http://www.jjhee.com)를 통해 누구나 받아볼 수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