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신간] 이명규 시인 ‘꽃인 듯 보리니’

시인에게 펜을 꺾게 만든 것은 무엇일까. 안개 낀 밤의 방황 같은 시 찾기, 수많은 불면의 밤과 허탈, 그 이후의 결심. 그러나 시인은 펜을 다시 들었다. 작가는 조용히 말한다. 텅 빈 하늘에서 비나 눈이 올 리가 없는데 텅 빈 일상에서 수작이나 졸작이 나올 리 없는데 세월만 흘러갔다고. 긴 생각 정리 후 지금까지 쓴 시고를 재정리하고 퇴고했다. 그 결실이 바로 이명규 작가의 시집 <꽃인 듯 보리니> .

표제작 ‘꽃인 듯 보리니’에서 작가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읽어낼 수 있다.

‘진정 애달프구나, 그대. / 슬프디 슬픈 인생살이에 / 고운 얼굴 지치고 찌들었네. / …(중략) 내 그대 꽃인 듯 보리니 / 행여 지지는 말라, / 깊은 밤 외로운 기러기 슬피 울고 가리니.’

김용신 시인도 이명규 시인을 두고, “새 세상에서의 삶을 꿈꾸며 뭍에 찾아왔으나 끝내 적응하지 못하고 돌아가는 섬사람처럼 마치 시인 자신도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돌아가야 하는 곳이 있기나 하듯 그의 모든 시에는 구석구석 본향을 그리는 나그네의 노래와 그리움이 서려 있다”고 말한다.

이명규 작가는 “제 자리에 머물러서 기존 작품만 매만져서는 발전이 없을 것이라는 마음에 능력이 부족한 것을 알면서도 출판을 감행했다”며 “세상의 모든 분과 삼라만상에도 깊은 감사의 인사를 보내고 싶다”고 말했다.

천경석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