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게임업계, 채용하고 싶은 신입사원 유형 TOP 5!

게임업계 직장인들이 선정한 가장 뽑고 싶은 신입사원은 창의력·아이디어가 뛰어난 신입사원이었다. 이들은 게임업계 신입사원에게 필요한 인재상으로 창의력, 성실성, 적극성 등을 꼽았다. 국내 1위 게임전문 취업 포털 게임잡이 게임업계에 재직 중인 직장인 420명을 대상으로 ‘뽑고 싶은 신입사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게임업계 직장인들은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뛰어난 유형(30.0%)을 가장 뽑고 싶은 신입사원 유형으로 꼽았다. 이어 △전공분야 지식이 뛰어난 유형(27.4%)과 △입사열정이 돋보이는 유형(23.1%), △조직력과 협업 능력이 뛰어나 보이는 유형(22.4%), △친화력 및 대인능력이 좋아 보이는 유형(19.5%) 등도 채용하고 싶은 신입사원 유형으로 꼽혔다(*복수응답).

기업 인재상에 자주 등장하는 주요 요건 중, 게임업계 직장인들이 가장 높이 평가하는 가치 1위에는 ‘창의력(58.3%)’이 꼽혔다. 다음으로 ‘성실성(22.1%)’과 ‘적극성(22.1%)’이 공동 2위에 올랐고, ‘리더십(19.5%)’과 ‘책임감(19.5%)’이 그 뒤를 이었다(*복수응답). 다음으로 게임업계 신입사원 취업 시 가장 필요한 항목을 조사한 결과 ‘전공분야 지식(33.6%)’, ‘포트폴리오(30.7%)’, ‘공모전/수상경험(22.4%)’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복수응답).

반면 채용하고 싶지 않은 신입사원 유형 1위는 △동문서답, 말귀가 어두운 유형(40.5%)이었다. 다음으로 △면접시간 지각 등 불성실해 보이는 유형(39.0%)과 △개인주의가 강해 보이는 유형(22.1%), △지원한 회사에 대한 분석/애정이 부족한 유형(21.9%)도 채용하고 싶지 않은 신입사원 유형으로 선정됐다(*복수응답).

한편, 게임업계 직장인 중 64.0%가 ‘현재 재직 중인 회사는 신입사원 적응을 위한 연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답했다. 재직 중인 회사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지 조사한 결과 ‘직무 과련 교육 프로그램(54.6%)’, ‘해야 할 업무에 대한 인수인계 및 교육(41.6%)’, ‘회사 임직원 멘토/멘티 프로그램(21.6%)’, ‘외부 강사 강연(16.0%)’ 등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신입사원 연수·교육 기간은 ‘2일~일주일 미만(34.9%)’, ‘1주일~2주일 미만(30.9%)’ 등으로 비교적 짧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