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글로벌 인공지능(AI) 연구 벨트’ 구상을 내놓았다. 국경을 초월한 글로벌 기술 네트워크를 구축해미국·중국 기술 패권에 맞설 새로운 글로벌 흐름을 만들겠다는 큰 그림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28일 강남구 삼성동에서 연 ‘데뷰(DEVIEW) 2019’ 기조연설에서 “미국과 중국의 AI 기술 패권에 대항할 한국 중심의 새로운 글로벌 흐름만들기 위해 과감하게 투자할 계획”이라며 이같은 구상을 발표했다.
주력 사업 지역인 한국·일본을 시작으로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를 거쳐 AI 연구소 ‘네이버랩스 유럽’이 있는 프랑스까지 하나의 벨트로 묶는다는 것이 네이버의 청사진이다.
이 벨트 속에서 학계·스타트업·기관 등이 각 지역의 선행 AI 기술 연구에 참여해 활발히 교류·협력하며 새로운 시너지를 만들고, 인재들이 지속적으로 양성될 수 있도록 투자할 계획이다.
석 대표는 “장기적으로 이 연구 벨트가 ‘GAFA’(구글·아마존·페이스북·애플)를 중심으로 한 미국과 ‘BATH’(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화웨이)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엄청난 기술력에 견줄 수 있는 새로운 글로벌 흐름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청사진을 그려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그 첫걸음으로 11월 말 네이버랩스 유럽에서 전 세계 AI·로봇 분야 전문가 11명이 참석하는 워크숍을 연다.
석 대표는 “AI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것도 결국 사람이다.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인재가 가장 중요하다”며 “그동안 다양한 인재 양성 투자를 해왔지만, 이번 글로벌 AI 연구 밸트는 이를 뛰어넘는 또 하나의 큰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또 현재 건축 중인 제2 사옥을 ‘로봇 친화형 빌딩’으로 만들기로 하고로봇·자율주행·AI·클라우드 등 미래 기술을 쏟아부을 계획이다.
‘1784 프로젝트’로 이름 붙인 이 사옥은 얼굴인식으로 출입하고 AI가 회의록을 작성하며 자율 주행 로봇이 실내·외를 누비며 물건을 배달하는 공간으로 꾸밀 계획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