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성재 신익상이 남긴 미완의 유고를 번역한 책이 나왔다.
<성재유고(醒齋遺稿)> (흐름출판사)는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와 한국고전문화연구원에서 교육부재원으로 한국고전번역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권역별거점연구소협동번역사업의 결과물이다. 성재유고(醒齋遺稿)>
이번 책은 국립중앙도서관장본을 저본으로 한 번역서이며, 불분권 10책이다. 서문(序文)은 없고, 각각의 책마다 앞쪽은 물론, 필요에 따라 책의 중간에도 목록을 더 실었다.
본집을 살펴보면 여러 필체가 뒤섞인 필사본이라는 점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등출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필사가 1834년 이후에 이뤄졌으며 곳곳에 남은 교정의 흔적으로 보아 간행을 염두에 두고 필사했다고 미루어진다.
신익상은 1634년(인조12) 11월 2일 구례의 아사에서 태어났다. 그의 문장은 우아하면서도 거침없다는 평을 받았다. 신익상의 시문은 그의 아들 신숙(申潚)에 의해 수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익상의 유고는 오랜 세월 묵혀 있다가, 1834년(순조34) 무렵에야 비로소 정리됐다. 필사 시기를 1834년 이후로 확실시하는 이유다.
1689년 기사환국 때 인현왕후 폐위의 부당함을 극간하고 사직한 신익상은 1694년 갑술환국 때 다시 기용된 이후 공조 판서를 거쳐, 이듬해 우의정으로 승진했다. 시문에 능하고 필법, 특히 전서(篆書)에 조예가 깊었다고 전해진다.
책 1권과 2권의 중반 ‘정경력의 협운에 따라 지은 시에 차운하다’ 까지는 대체로 연대순으로 시를 선정했지만, 그 이후로는 송시·증별시·만시만을 뽑아 연대순으로 모아 놓았다.
더불어 책 3권에는 감회시를 비롯해 습유 및 어린 시절에 쓴 작품 등을 엮었다.
책 4권에는 친구 유상운과 주고받은 차운시를 집중적으로 실었고, 책 5권에는 ‘북관록(北關錄)’을 비롯해 나머지 시를 함께 수록했다.
문장은 가장의 유고를 정리하지 않고 그대로 필사만 해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책 6권부터 책 10권을 살펴보면 여백으로 남은 페이지가 많은데, 부록 문자가 뒤섞여 있다. 전체적으로 권차를 나누지 않고, 1권에서 10권에 이르는 각각의 책 가운데 목록이 실린 곳을 전후로 권차를 구분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