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보도자료

[신간] 우리 풀꽃에 담긴 인생살이의 지혜

김용옥 시인 풀꽃그림 시집 '우리 풀꽃 77' 출간
“생명 가치 인식의 첫 단계, 풀꽃 이름 알았으면”

“문학을 하려면 우리 주변의 초목의 이름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꽃 한 송이가 피어나려면 얼마나 힘들지, 아름다움과 향기에는 어떤 수고가 따르는지 헤아려보게 되거든요. 이번 책은 우리 인생의 의미를 되새기는 ‘풀꽃도감’이 될 수 있으면 좋겠어요.”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얼굴을 익히고 대화를 나누다보면 서로의 특색을 알게 되고 더욱 정겨운 만남이 된다.

김용옥 시인이 낸 풀꽃그림 시집 <우리 풀꽃 77> (도서출판 북매니저)에는 자연을 쏙 빼닮은 추억이 흐른다. 평소 산책을 하며 우리 주변의 풀꽃을 꼼꼼히 그렸고, 그에 맞춰 40여 편의 시를 붙였다.

책의 목차도 풀꽃의 이름과 시 제목으로 나눠 달았다. 풀꽃그림을 먼저 찾아 볼 수도, 시를 찾아 읽을 수도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내 인생은 왜 있는가?’하는 질문이 스스로를 잡고 놓아주지 않을 때 이 책은 마음의 짐을 잠시 내려두라 말한다.

“등갈퀴나물꽃 개망초꽃 강아지풀꽃이 / 시절인연 따라 핀다 // 외로움 때문에 꽃피고 / 그리움이 배불러서 꽃피고 / 슬픔이 자라서 꽃이 핀다 // 풀밭에 서면 향기로운 것은 / 갖가지 잡초가 / 각각 제 냄새를 풍기기 때문이다”(‘풀냄새’전문.)

김 시인은 “생명의 가치를 인식하는 첫 단계는 ‘이름’을 알고 ‘생김새’를 익히는 것”이라며 “지천에 아무리 꽃과 풀이 널려 있어도 이름을 모르면 그냥 지나쳐버리기 일쑤다. 인생의 의미도 마찬가지”라고 이야기했다.

동네 주변을 산책하다보면 만나는 풀꽃들은 늘 그 자리에 있지만 영특하게도 철마다 다른 풍경을 만들어낸다. 시인은 가만 가만 풍경을 눈에 담으며 자연과 친해지는 법을 배웠다. 세상사는 우리는 모두 저마다의 이유를 가지고 지상에 핀 풀꽃일까. 인생살이의 지혜도 살포시 얻어 간다.

김용옥 시인은 이리남성여자고등학교와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80년 <전북문학> 에서 고하 최승범의 추천으로 등단했다. 현재 국제PEN한국본부 이사, 한국현대시인협회 지도위원, 한국시문학문인회 지도위원, <수필세계> 편집위원, <현대수필> 이사로 있다.

김태경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국회 산중위 전북정치권 공백…AI·에너지 현안 출혈 불가피

국회·정당국회, 내년도 예산안 종합정책질의 시작

사람들데이터로 도시를 짓다…전북 건축문화상 학생부문 대상 전주대 박인호 학생

정치일반李대통령, 울산 매몰사고 “인명구조에 가용자원 총동원하라”

정치일반전북, 1조 원대 ‘피지컬 AI’ 상용화 사업 전 실증사업 마무리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