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장으로 들어서자, 숲에 들어와 있는 듯한 착각이 든다. 벽면 가득 신록의 푸르름이 눈부시다. 관객들은 그림 속 순수하고 신비로운 ‘흰 사슴’과 눈 맞추며 잠시나마 안식과 위로를 경험한다.
류재현 작가가 완주 유휴열미술관에서 초대전을 열고 있다. 숲을 주제로 신록의 푸르름을 화폭에 담아냈던 그가 이번엔 ‘강’에 주목했다. 2019년 미뤄뒀던 어깨 수술을 한 뒤, 지난해 섬진강의 천담과 구담을 모티브로 작업하기 시작한 결과물이다. 그의 화실 주변 완주 구이저수지도 그림으로 옮겨졌다.
작가는 ‘강 너머’에 있는 풍경을 그렸다. 전시 제목도 ‘Over There’이다. 전부 실경을 모티브로 했지만,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는 그림은 아니다. 강 너머는 가고 싶고, 느끼고 싶은 동경의 세상이다.
작가는 전통적인 붓질로 사실적인 풍경을 그려낸다. 작품은 유화이지만, 유화 붓 대신 한국화 붓을 사용한다. 작고 부드러운 모필로 한국화에서 난을 치듯이 긋고, 점을 찍는다. 바람결에 떨리는 녹색, 연두색 풀들의 부드러움을 표현하기 위해서다.
전시장에서 만난 그는 “현대인들은 자연을 동경한다. 실제로는 자연 속에 살고 있지만, 현대인들에게 자연은 나와는 거리가 있는 다른 세상이 돼버렸다. 그것은 우리 모두가 늘 그리워하고 돌아가고자 하는 욕망의 대상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했다.
가끔 겨울의 설경 작업도 하지만, 작가는 주로 봄과 여름 사이 신록으로 가득찬 숲을 그린다. 6월이 지나면 숲의 색이 너무 진해져 맑고 상쾌한 느낌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또 새싹이 움트는 계절이 그가 말하고자 하는 ‘근원적 생명력’과도 맥을 같이 한다.
작품에는 ‘흰 사슴’이 등장한다. 그가 공허함과 허전함을 채우기 위해 발견한 존재로 작가의 발현이자, 관객 이입의 대상이다. 짙고 옅은 초록 숲속, 흰 사슴은 바쁘게 몰아치던 일상을 잠시 멈추게 한다.
전주 출신인 류재현 작가는 전북대 사범대학 미술교육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27년간 미술 교사로 근무했다. 2013년부터 전업 작가로 활동하며 서울과 전주, 프랑스 파리 등지에서 개인전을 열고 있다.
전시는 다음 달 31일까지 계속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