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완산구 효자동에서 3년째 음식점을 운영하는 김모(34)씨는 요즘 코로나19 확산세가 야속하기만 하다.
보증금 1억 원에 월세 400만원에 임대계약을 맺어 가뜩이나 월세부담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19로 매출이 큰 폭으로 떨어져 월세조차 내지 못할 형편에 처했다.
김씨는 신용보증 기금을 통해 대출로 연명을 하고 있는데 전염병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이제는 빚도 더이상 내기 힘들어 가게를 접어야 할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김씨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매출이 70% 이상 감소했는데 고정 지출은 늘어 어려움을 겪다가 백신 접종으로 올 여름 휴가철에는 어느 정도 매출이 회복될 것이라 내다봤다”며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매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는데 영업 시간 제한과 집합 금지 조치에 실낱같은 희망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21일 한국은행 전북본부에 따르면 전북지역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 신용 대출 현황 자료에서 2019년 14조원에서 지난 5월 16조 7000억원으로 코로나19 사태를 겪은 1년 6개월 동안 2조7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전북도는 코로나19로 인해 전주시, 익산시, 군산시, 완주군 이서면(혁신도시) 등 4개 지역 거리 두기를 2단계로 격상하고 유흥시설은 24시 이후 운영 제한, 식당과 카페는 포장배달만 허용하는 조치를 내렸다.
나머지 시, 군은 기존 1단계를 유지하지만 사적 모임 인원은 4인으로 제한하게 됐다.
상황이 이렇자 코로나19 확산으로 침체된 경기에 전북지역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이 매출 타격에 의한 빚을 감당하지 못해 대출로 연명하는 일이 늘어나는 추세다.
2018년 통계청 조사를 보면 전북 도내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은 22만명으로 이들 중 상당수가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일반음식점, 카페 등 골목상권은 포장과 배달 영업이라도 가능하지만 노래연습장과 유흥시설은 아예 문을 닫으면서 임대료와 인건비, 치솟는 물가 등을 견디다 못해 쌓여가는 빚을 신용 대출로 갚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특히 시중금리는 올라 2%대 신용대출 금리가 최근 3~4%대로 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영세한 자영업자 등 경영 위기를 겪는 소상공인의 대출 규모가 크게 늘어나는 구조적인 문제로 지역경제의 시한폭탄이 될 위험도 클 것이란 지적이 잇따른다.
금융계에서는 코로나19 매출 타격으로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와 관련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신용상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업황이 크게 악화된 음식업 등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위험 대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경향”이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자영업자 부채리스크 관리를 위해 대출 상환시점의 탄력적인 조정과 분산 방법 등 출구전략을 마련하는 방안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