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정무직 담당자·정무보좌진 역할 축소 추세
단체장·국회의원 민원인 유권자 상대 스킨십 늘어
직급 낮아질수록 소통 어려워지는 역설적 현상 발생
쌍방향 아닌 자신들의 입장만 강변 일방소통 잦아져
평소 소통창구 핫라인 가동될 수 있도록 체계화 필요
도내 자치단체와 국회의원들의 예산 활동이 본격화된 가운데 정치권과 자치단체에서 근무하는 정무·정책 담당자들의 소통 부재론이 제기되고 있다. 지역 정가에선 '소통창구' 핫라인이 가동될 수 있도록 이들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단체장부터 국회의원까지 대부분 초·재선인 전북정치권에서 정무·홍보라인의 역할 부재론은 21대 총선 이후부터 제기돼 왔다. 이후 6·1 지선이 끝나면서 불만은 더욱 커졌다. 자치단체 정무직 공무원과 보좌진이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일이 거의 사라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산확보가 급해지면 예산 심사나 국회 상임위 당일에 국회의원실에 연락하거나 지역 여론에 지원을 청하는 일은 더욱 빈번해 졌다.
예전에는 보좌진과 정무직 공무원들이 평상시에도 소통하며, 현안을 공유해왔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전언이다. 특히 보좌진 경력 20년 이상의 베테랑들은 국회의원의 지시가 없더라도 활발한 정무 활동으로 지역 현안에 숨은 해결사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현재는 보좌진들의 근속연수가 짧아지면서 지자체와 지역과의 소통에 아예 나서지 않는 의원실 관계자들이 훨씬 더 많아졌다. 일부 의원실 보좌관이나 비서관들은 ‘지역 내 정무 활동을 아예 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오해도 받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예산 정국이 시작되다 보니 갑작스럽게 서로 부탁만 주고받게 되는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다. 양측은 서로에게 불쾌감을 표출하고 있다. 쌍방향 소통이 아닌 자신들의 입장만 강변하고 요구하는 일방 소통이 잦아졌다는 불만이다.
도내 한 국회의원실 관계자 A씨는 “과거엔 전북도 등 자치단체 담당자들이 적어도 2~3일 전에 현안을 공유하고, 예산확보나 입법 활동을 요청하는 게 상식이었다”면서 “요즘은 상임위가 열리는 당일에 찾아와서 급하게 부탁하는 경우가 많다. 이건 예의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다른 국회의원실 보좌관 B씨는 “국회의원 보좌관을 지자체 관계자의 심부름꾼 정도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면서 “그들은 부탁이라고 하지만, 우리에겐 꼭 지시처럼 느껴지는 상황이 적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자치단체 관계자들은 "오히려 보좌진이 어려워서 발생한 일"이라고 토로했다.
도내 한 자치단체 관계자 C씨는 “평소에 스킨십이 더 어려워지고, 먼저 연락하는 게 쉽지 않은 분위기가 조성되다 보니 갑작스레 부탁하는 것처럼 보였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자치단체 관계자는 “평소에도 도내 의원실 전체를 자주 방문하고 있다”며 “일부 의원실을 찾아가면 너무 경색되거나 차가운 분위기에 접근이 힘들었다”고 호소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