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푸르밀 사업종료 철회 후 전주공장 인원 감축 고통 시작

희망퇴직자 전북도, 임실군 등 취업 지원 시급

image
푸르밀이 사업 종료 계획을 철회하면서 사태가 일단락됐지만 경영 정상화와 섣부른 사업 포기 선언으로 금이 가버린 신뢰 회복은 향후 과제로 남아있다.

푸르밀이 사업 종료 계획을 철회하면서 사태가 일단락됐지만 경영 정상화와 섣부른 사업 포기 선언으로 금이 간 신뢰 회복이 향후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푸르밀은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5일 간 기능직 등 만 3년 이상 근속자를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희망퇴직자에게는 근속 기간에 따라 5~7개월 분의 위로금(평균 임금 월급액 기준)과 법정 퇴직금 등이 지급될 예정이다.

푸르밀은 현재 400여명의 직원이 재직 중인데 전주공장에는 협력업체 직원을 제외하면 직원 131명이 재직하고 있다.

노사가 사업을 지속하기 위한 조건으로 30% 인원 감축에 합의해 구조조정의 진통을 겪어야 하는데 희망퇴직자가 지역을 떠나기 전 전북도와 임실군의 일자리 지원이 시급한 부분이다.

근로자들은 사측의 사업종료 선언 이후 지자체가 사실상 무관심했다는 점에 서운해 하는 분위기다. 

푸르밀이 구조조정으로 조직을 슬림화해도 경영 위기를 어떻게 타개할 지 관건이다.

노조가 뼈를 깎는 희생으로 구조조정에 임해도 지난 2018년 이후 내리막을 걸어온 회사는 올해 누적 적자가 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자금 조달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소비자 신뢰 회복과 함께 저렴한 수입산 멸균 우유 인기에 국내 우유 업계가 위기에 몰린 것도 푸르밀에 악재다.

지역 경제계 인사는 “회사가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지만 사업 유지를 위해 자산 매각 등 특단의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며 “우유만으로 업계에서 살아남기 힘든 구조라 타 업체와 경쟁하려면 치즈 등 신사업 분야를 개척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영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