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인구 유출과 건물 노후화 등 활력 상실한 주거환경 개선 필요
- 도, 지역 소멸 대응 국토부 '우리 동네 살리기 도시재생' 공모 도전
- 전주시 금암동(8만 6000㎡), 완주군 이서면(6만 9000㎡) 2곳 신청
전북의 인구 유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따른 건물 노후화 등 도심의 활력을 상실한 지역 주거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23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역 소멸에 대응하고자 올해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우리 동네 살리기 도시재생’ 공모사업을 신청해 도시재생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확보전에 나섰다.
정부가 공모하는 ‘우리 동네 살리기 사업’은 쇠퇴한 주거 지역에 생활 밀착형 공동시설 등을 조성하고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구도심 재생 사업을 말한다.
지난해 전북의 경우 국토부가 추진한 도시재생 공모사업에 도전장을 낸 끝에 정읍시 장명지구의 노후주택 등 환경개선 사업과 남원시 천거지구의 수해 이주민 거주지 환경 개선사업 등 2곳이 선정돼 국비 88억 원을 확보했다.
올해에는 전북자치도가 도내 수요조사를 통해 전주시와 완주군 등 2곳을 사업 대상지로 정부 공모사업을 신청해 낙후된 구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복안이다.
사업 신청 대상지인 전주시 금암동에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년 동안 총사업비 83억 원을 들여 8만 6000㎡ 규모로 공원 조성 및 노후주택 정비, 골목길 정비, 주민 공동 이용시설 1개동을 설치할 계획이다.
완주군 이서면에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년 동안 총사업비 80억 원을 투입해 노후주택 정비 및 골목길 환경 정비, 스마트 안심 스쿨존 조성, 마을 돌봄 센터 1개동을 조성하게 된다.
이번에 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될 경우 전주시 50억 원, 완주군 48억 원 등 총 98억 원의 국비를 확보해 도비와 시비 등 지방비를 연계함으로써 도시재생 사업을 새로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전북자치도는 지난달 현장컨설팅과 사업설명회를 개최했으며 최근에는 전문가 컨설팅을 마쳤다.
국토부는 사전적격성 검증과 서면 및 현장, 발표 등의 평가를 거쳐 오는 6월 말 심의를 통해 사업 대상지를 최종 선정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김광수 전북자치도 건설교통국장은 “이번 공모사업 신청 대상지는 주민 생활권 내에 기반시설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주민 편의 시설이 부족하거나 노후화된 주택으로 쇠퇴한 도시지역”이라며 “주민들을 위한 생활 편의시설과 공동 이용 시설 확충을 통한 정주환경을 개선하고 도시경관 개선 및 골목 활성화로 도시에 활력 회복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