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4년 고용률 및 취업자 전년대비 각각 0.5%p 증가
반면 12월 실업률 3.2%·실업자 78.5% 급증, 고용률 1.7%p 감소
전북 지역 고용시장이 2024년 한 해 동안 소폭적인 개선세를 보였다. 다만, 연말들어 실업률이 급증하며 고용 불안과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모습이다.
호남지방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전북특별자치도 고용동향'에 따르면, 2024년 연간 고용 지표에서 고용률은 63.8%로 전년 대비 0.5%p 상승했다. 2024년 취업자 수는 98만 8000명으로 전년 대비 5000명(0.5%) 증가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등에서 21만 명(5.6%) 증가했으며, 전기·운수·통신·금융에서도 3000명(3.9%) 증가했다. 반면 농림어업은 1만 1000명(-6.3%) 감소했고, 도소매·숙박음식점업도 6000명(-3.7%)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 임금근로자가 1만 4000명(2.2%), 상용근로자도 1만 4000명(3.1%)이 늘었다. 일용근로자는 7000명(-16.5%) 감소했다.
그러나 12월 고용동향에서 실업률이 크게 상승했다. 지난해 12월 실업률은 7.2%로 전년동월대비 3.2%p 상승했으며, 실업자 수는 7만 1000명으로 3만 1000명(78.5%) 급증했다.
고용률은 59.8%로 전년동월대비 1.7%p 하락했으며, 취업자 수도 92만 4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만 1000명 감소했다. 연말 경기 둔화와 계절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경제활동참가율은 2024년 연간 65.4%로 전년 대비 0.5%p 상승했으며, 비경제활동인구는 53만 6000명으로 1만 명(-1.8%) 감소했다. 이는 더 많은 사람들이 노동시장에 참여하려 했음을 보여준다.
호남지방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전북 지역 고용률이 2014년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종식 이후 경기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전반적인 경제활동이 증가했다"면서도 "12월에는 노인일자리 사업의 조기 계약 종료와 함께 건설업, 농림어업, 도소매·숙박업 등의 감소로 실업률이 크게 올랐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이어지면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가 늘어난 점도 실업률 상승의 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