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ESG 관리가 기업 경영전략의 핵심으로 자리잡으며, 협력사 평가와 지원 방식에도 변화가 보이고 있다.
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국내 상장 대·중견기업 199개사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협력사 행동규범을 분석한 결과, 기업들의 공급망 ESG 관리가 크게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 기업의 97%가 공급망 ESG 관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어 전년(89.2%) 대비 7.8%p 증가했다. 특히 ESG 평가결과를 계약·거래에 활용하는 기업 비중이 22.3%에서 42.2%로 1년 새 두 배 가까이 늘었다. ESG 관련 정책을 구매시스템에 반영하는 기업도 52.6%에서 78.9%로 늘었다.
협력사 지원 측면에서는 ESG 교육(65.8%)과 컨설팅(51.3%) 지원이 크게 늘었으나, 인증 지원(16.6%)과 설비투자 등 하드웨어적 지원(18.1%)은 여전히 미흡했다. 또한 인센티브(31.7%)를 적용하는 기업 비율이 증가했지만, 페널티 적용 기업(29.6%)도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했다.
양찬회 중기중 혁신성장본부장은 "ESG의 영향력을 커졌으나, 협력사 ESG 수준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인증·하드웨어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페널티 부과 기업 비율도 높아 대기업의 상생노력 확대가 필요하다"며 "ESG 규제환경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중소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급망 ESG 관리 활동은 협력사 평가절차, 평가항목, 현장실사 기준 및 내용, 평가결과 활용, 진단 후 미흡사항 점검, 향후 평가계획 수립, 협력사 행동규범 제정, ESG 교육 및 컨설팅 지원, 인증획득 지원, 하드웨어적 지원, 중대한 위반 시 불이익 부과, 구매시스템에 ESG 반영, 공급망 탄소배출 관리 등을 포함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