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새로운 주거문화 ‘4도 3촌’ 전북 귀농귀촌 인구 유인책 적용 필요

주중 4일 도시 생활, 주말 3일 농촌 생활 ‘4도 3촌’ 주거문화
전남은 ‘만원 세컨하우스’ 등 새로운 추세 반영한 정책 내놔
전북은 '4도 3촌' 직접 지원 없어 귀농귀촌 유인책 모색 필요

image
전북특별자치도 전경 /사진=전북도 제공

전북의 귀농귀촌 인구 유입을 보다 더 확대하기 위해 최근 새로운 주거문화로 떠오르고 있는 ‘4도(都) 3촌(村)’ 흐름에 맞는, 전북만의 획기적인 대책 마련과 행정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4도 3촌’은 일주일에 4일은 도시에서 생활하는 대신 주말 3일은 농촌의 전원에서 생활하며 삶의 여유를 찾는 사람들의 트렌드를 일컫는 말이다.

30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귀농귀촌 인구 유입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의 귀농귀촌 현황은 2021년 1만 6244가구에서 2022년 1만 6321가구, 2023년에는 1만 7417가구로 최근 3년간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생)의 은퇴로 4도 3촌 생활 문화가 확산될 전망인데 도시 대비 저렴한 토지 비용과 쾌적한 환경 등이 지속적인 인구 유입의 기회 조건이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지난해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 이슈노트를 보더라도 2차 베이비붐 세대는 954만 명으로 전체 인구수의 18.6%를 차지하고 있다.

이 수는 1955~1963년생 1차 베이비붐 세대(705만 명)와 비교해 볼 때 35% 많은 수준이다.

문제는 전북자치도가 최근 새로운 주거문화로 떠오르는 ‘4도 3촌’에 관한 뚜렷한 대응책이 마련돼 있지 않다는 점이다.

특히 귀농귀촌 정책 방향이 청년 인구 유입에 쏠린 나머지 은퇴를 앞둔 2차 베이비붐 세대에 관한 지원은 마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4도 3촌에 관련된 정책을 세워서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건 없다”며 “젊은 귀농귀촌 인구를 대상으로 임시 거주시설을 조성하거나 도시민 상담 교육, 박람회 등 귀농귀촌 활성화 지원 사업을 추진해 인구 유입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남의 경우 이미 ‘4도 3촌’ 추세를 반영한 농촌 세컨드홈 활성화 정책 등을 강화하고 있다.

도시인들을 대상으로 단기적인 실습 프로그램뿐 아니라 장기적인 거주 형태로 한 달에 만원으로 5년간 거주 가능한 ‘전남형 만원 세컨하우스’ 등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전북의 경우 귀농귀촌 인구 유입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고무된 나머지 새로운 주거문화에 맞는 대책 마련에는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따라서 전북도 ‘4도 3촌’ 추세를 반영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 발굴과 지원에 나서야 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김영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사설] 진안고원산림치유원, 콘텐츠 차별화 전략을

오피니언[사설] 자치단체 장애인 의무고용 시범 보여라

오피니언[오목대] 활동적 노년(액티브 시니어)

오피니언[청춘예찬] 그땐 그게 전부였다 – 정신건강편

오피니언[금요칼럼]선호투표제가 대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