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알 카에다, 9.11 이후 전세계 테러 주도

 

지난 1996년 이래 아프가니스탄에서 훈련받은 1만5천-2만명의 알 카에다 요원들이 9.11사태 이후 발생한 거의 모든 전세계 테러공격에 연루돼 있다고 익명을 요구한 미국의 한 대테러 담당 관리가 24일 밝혔다.

 

이 관리에 따르면 지난주 터키에서 일어난 자살폭탄 공격을 비롯해 인도네시아,모로코, 사우디 아라비아, 러시아, 이라크 등지에서의 잇따른 테러공격들은 알 카에

 

다가 직접 관련돼 있거나 이 단체의 사주를 받은 자생적 그룹들에 의해 자행된 것으로 밝혀졌다.

 

훈련된 테러분자들은 "오사마 빈 라덴과 알 카에다에 충성을 맹세했거나 각지의 지하드(聖戰)를 촉발하기 위해 그들의 메시지와 선동을 각국에 전달했다"고 미국의

 

한 정보 보고서는 분석했다.

 

다음은 알 카에다의 연루 흔적이 뚜렷한 각국의 주요 테러공격이다.

 

▲터키 = 지난 15일 이스탄불의 유대인사원 자살폭탄공격을 감행한 메수트 카부크(29)와 고크한 엘알툰타스(22) 두 범인은 모두 아프간에서 테러훈련을 받았다고

 

압둘라 굴 터키 외무장관이 밝혔다. 아프간과 보스니아, 체첸 등지에서 훈련을 받거나 전투에 참여한 터키 지원자들은 모두 1천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터키 내 소규모 무장단체인 `위대한 동방 전사들의 이슬람전선'도 알 카에다와 함께 유대교 사원 및 최근 발생한 영국 영사관.HSBC은행 동시 폭탄테러를 자행했다고 주장했다.

 

▲모로코 = 지난 5월16일 발생한 카사블랑카의 유대인 및 스페인계 목표물 동시 다발테러 후 900여명을 붙잡아 조사한 결과, 100여명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훈련을 받았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중 일부는 특히 아프간에서 오사마 빈 라덴을 직접 만난것으로 밝혀졌다. 모로코 관리들은 아프간 캠프에서 훈련을 받고 복귀한 모로코인들이 300여명에 달하며 현지 테러단체인 살라피야 지하디야도 알 카에다와의 연계사실이 확실하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 202명의 목숨을 앗아간 지난해 10월의 발리 폭탄테러와 지난 8월의 자카르타 메리어트호텔 폭탄공격을 자행한 테러조직 제마아 이슬라미야도 빈 라덴과의 연계 사실이 드러났다. 이 단체의 두목인 함발리와 그의 후계자 줄카르나엔 등은 모두 아프간에서 훈련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발리 테러에 사용된 폭탄을 조립하고 매리어트호텔 공격을 주도한 아자하리 빈 후신도 아프간에서 폭탄제조법을 배웠다고 진술했다.

 

▲러시아 = 러시아와 미국 당국자들은 지난해 10월 발생한 체첸반군들의 두브로브카 극장 인질사건과 알 카에다의 연루 여부를 집중 조사 중이다. 미국과 아프간측이 최근 벌인 아프간 동부 산악지대 알 카에다와 탈레반 근거지에 대한 공격작전에서 체첸인 몇 명이 사망한 바 있다.

 

▲이라크 = 미국 관리들은 이라크 내 미군과 연합세력을 향해 잇따라 공격을 가하고 있는 단체들이 `외국인 전사'들과 연루돼 있음을 시사해왔다. 또 일부는 알 카에다의 후원 아래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 당국자들은 주로 이라크 북부 쿠르드족들로 구성된 수니파 이슬람단체 알 이슬람이 알 카에다와 연계됐다는 증거가 있으며, 빈 라덴의 측근인 요르단인 요원 아부 부사브 자르카위도 이라크에 잠입해 반미 작전을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튀니지 = 지난해 4월 자행된 유대교사원에 대한 트럭폭탄 테러는 알 카에다의 제3인자 칼리드 샤이크 모하메드가 직접 지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건과 관련해 독일 당국이 구금 중인 폴란드계 독일인 미하헬 크리슈티안은 아프간을 다섯차례나 방문해 알 카에다용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준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자치도, 재생의료특구 지정 위한 특별법 개정 본격화

정치일반새만금산단 입주기업, RE100 실현 ‘첫발’…태양광 발전설비 준공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