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침체와 함께 길거리 노점상들이 갈수록 늘고 있는 가운데 불법노점 인근 상인들의 불만가중과 교통난유발 등 갖가지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일부 노점 밀집지역의 경우 기업형으로 운영되는가 하면 기존 노점상들이 자릿세를 요구하거나 텃세를 부리는 사례도 적지않은 것으로 알려져 노점상 관리·단속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사정이 이런데도 당국은 노점상들의 집단행동·총선분위기 등의 이유로 노점상 단속에 소극적으로 대응, 노점난립으로 인한 후유증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선 자치단체에 따르면 최근 인구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불법노점상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전주시의 경우 삼천동 삼익수영장과 효자동 서부시장 일대에 '반짝시장'이 난립하고 있으며, 서신공원 및 평화·송천주공아파트 부근 등 인구밀집지역 10여곳에 노점상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군산과 익산에도 각각 나운동 보건소·구시청 사거리 부근, 익산역 인근의 외환은행사거리·어양동 체육공원 등에서 불법노점이 성시를 이루고 있다는 것.
이에따라 상당수 노점밀집지역은 인근 상인들과 마찰을 빚는 등 민원이 속출하고 있으며, 자동차전용도로에까지 차량을 이용한 노점상들의 호객행위가 끊이지않아 교통사고유발 등의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달 전주시 삼천2동 상인들은 '삼익수영장 주변 노점상들로 인해 상권이 몰락하고 교통지체로 고통을 겪고 있다'며 노점의 불법상행위를 묵인한 이유를 들어 전주시장 등을 경찰에 고소하기도 했다.
더욱이 전북대와 객사인근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기업형 노점상이 극성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일부 노점상들이 신규유입을 막는 등 텃세가 커지고 있다는 것.
실제로 김모씨는 "최근 전북대 앞에서 노점을 하려다 쫓겨났다”며 "기존 노점상이 어찌나 큰 소리로 악을 쓰고 화를 내던지, 무슨 죄짓고 쫒겨나는 사람처럼 허둥지둥 짐을 싸들고 뛰어왔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김씨는 또 "기존 노점상들이 '이 자리에서 장사 해먹으려고 관할청에 다 할것 한다'는 말을 했다”며 "전북대구정문앞 노점상단속은 언제, 누가, 어떤 경로로, 어떤 식으로 하는지 궁금하다”고 꼬집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