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시] 국립중앙博, 미술관 전시 새 단장

국립중앙박물관의 미술관 회화실과 불교회화실이 새롭게 단장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특히 회화실은 '그림으로 만나는 선비들의 모임'을 주제로 조선 시대 선비들이 친목 모임을 기념하기 위해 남긴 계회도(契會圖)를 중심으로 새롭게 전시를 꾸몄다고 29일 밝혔다.

 

주요 전시물은 '평시서계회도(平市署契會圖)', '권대운기로연회도(權大運耆老宴會圖)', '무신친정계첩(戊申親政契帖)' 등이다.

 

'무신친정계첩'은 1728년(영조4년) 창덕궁 어수당에서 이조판서 윤 순과 병조판서 조문명 등이 모여 인사 평가를 하는 장면을 묘사한 그림으로 뒷장에는 참석한 17명의 이름이 적혀 있다.

 

'권대운기로연회도'는 권대운(1612-1699)이 숙종으로부터 지팡이와 팔걸이를 받은 것을 기념해 기로소 대신들과 연회를 벌이는 장면을 그렸다.

 

계회는 같은 관청에 재직했던 관료의 모임(동관계회.同官契會), 같은 시기에 과거에 급제한 동료의 모임(동방계회同榜契會)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경치 좋은 곳에서 마음이 통하는 선비들과 담소를 나누는 모임인 아집(雅集.아취가 있는 모임), 함께 시를 나누며 풍류를 즐기는 모임인 시회(詩會) 등도 있었다.

 

조선 중기 포도 그림 중 가장 크며, 기세 있게 휘돌아가는 줄기에 포도송이가 달린 모습을 활달한 필치와 대담한 구도로 표현한 이계호(1574-1646)의 '포도도' 8폭 족자도 전시된다.

 

불교회화실은 일반에 처음 공개하는 '달마대사진영(達磨大師眞影)', '사직사자도(四直使者圖)'와 함께 '아미타여래도', '지장보살도' 등 불교 그림으로 꾸며졌다.

 

사직사자도는 저승사자를 그린 그림으로 4점이 한 세트를 이룬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