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0일까지
전주가 전주부(府)에서 전주시(市)로 개명된 지 60년. 환갑을 맞은 전주시가 전주역사박물관과 함께 '전주시 60년 특별전'을 연다.
12일부터 10월 10일까지 역사박물관 기증기탁실과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발산에 돋는 해, 60년 전주를 이끌다!'. 제목에 등장하는 '발산(鉢山)'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선조 일가가 모여살던 자만동에 있는 산으로 조선 왕조 발상지이자 호남제일성 전주의 상징. 1959년 6월 9일 시민의 날에 공표된 '전주의 노래'(작가 김해강) 첫 소절 ('발산에 돋는 해와 기린의 달에')에도 등장한다.
이번 전시는 전주시의 지난 60년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과 비전을 모색하는 자리로, 전주시와 관련된 사진과 기록물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전주시 고문서에 보관된 전체자료를 조사해 선별된 자료와 그동간 역사박물관에서 수집해 온 전주의 옛 사진 자료를 활용해 '시정' '경관' '사람' '문화'로 분류했다. 총 250여점의 자료 및 사진들은 지난 60년간의 전주다.
'시정'에는 인사와 관련된 각종 문서와 직원명부, 근무성적조서 등과 행정구역 변천에 대한 자료가 전시된다. 1952년 행정구역 편입지도와 1957년 행정구역 확장지도를 통해 지난 60년 동안 전주시 행정구역의 변천을 볼 수 있다. 그동안 행정구역 편입을 위해 제출됐던 진정서들도 함께 전시돼 최근 전주와 완주 통합 계획과 연계해 당시 노력들과 변화 과정도 비교해 볼만 하다.
'경관'에는 전주시의 옛 모습을 볼 수 있는 사진 자료들이 전시된다. 전주시 물길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1970년대 하천표를 비롯해 전주천 일대 정리사업과 복개공사 내용이 담긴 사진자료들을 볼 수 있다. 현재 복원사업이 진행 중인 노송천 복개공사에 대한 내용도 있어 시대마다 우선되는 가치에 따라 변화하는 전주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이외에도 화산지구, 아중지구, 효자지구, 서신지구 등 택지개발과 관련된 사진들과 기린로, 백제로 등의 도로 개통 사진들도 전시된다.
'사람'에는 전주땅에서 살아온 전주 사람들의 삶이 있다. 지난해 역사박물관이 펴낸 사진사료집 「옛 사진 속의 전주 전주사람들」에서 생생하게 살아있는 옛 전주 사람들의 표정과 모습을 추렸다.
전주의 대표적인 문화유산들의 옛 사진이 공개되는 '문화'는 전주향교와 경기전, 풍남문, 객사, 사고 등 전주의 문화적 자산으로서 귀한 자료들이다.
장택진 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시민들 참여가 충분히 이뤄지지 못해 아쉽지만, 이번 전시를 통해 조용하지만 열정적으로 발전해 온 전주시의 모습을 확인하고 전주가 가진 우수한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전시 개막은 12일 오후 3시 역사박물관. 문의 063) 228-6485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