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시] 원초적 몸짓이 빚어낸 자유로움

개인전 '무비쥬얼 아트 프롬 더 바디' 갖는 송대규

"미국 플럭서스(Fluxus) 영향으로 이미 회화니 입체니 무용이니 하는 장르 구분이 없어졌어요. 몸을 평면화한 작업은 처음입니다."

 

개인전 '무비쥬얼 아트 프롬 더 바디'(MoveVisual art from the body)를 열고 있는 송대규씨(31)는 몸에 대한 탐구와 실험을 거듭해오고 있는 작가다. 지난 2006년 전주 시내 한복판에서 선보였던 '퍼포먼스 프로젝트 - 응시' 이후 3년 만이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유리벽을 꽉 채운 대작 무제(11mx3m)가 눈에 들어온다. 까만 천 위에 손과 발이 붓을 대신해 아크릴, 페인트, 먹물 등으로 자유로운 움직임을 드러냈다. 3분 만에 완성했다는 또다른 작품 무제는 친구와 편안하게 이야기 나누듯 몸짓이 자연스럽게 엉키는 과정이 담겼다.

 

그는 전시장 보다 축제 현장이나 공연 무대가 더 익숙한 것 같다. 컨템포러리 아트(기존 작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를 통해 서로 다른 장르의 충돌과 해체를 보여주기 때문. 그 고민의 시작은 홍익대 입학 때부터다. 갑작스레 찾아온 사춘기로 그는 뭔가 작가생활에 획을 그어야 겠다고 여겼다. 그해 12월31일 전주 경기전에서 살풀이(?) 수준의 퍼포먼스를 가졌다. 자신의 몸에 쇠사슬을 걸고 거친 몸부림을 한 것.

 

"그 순간 제 몸 하나 만큼은 진실이라 여겼어요. 몸을 신뢰하게 된 거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다시 한계에 부딪쳤다.

 

"제 작업이 시각예술과 공연예술의 애매한 지점에 있었습니다. 회화는 머릿속에서, 무용은 몸으로 풀어내지지만, 이 둘의 거리가 너무 멀어 접점을 어떻게 찾아야 할 지 혼돈이 됐어요."

 

그는 "20대에 얻었던 것들을 소통하는 시기가 30대라고 생각한다"며 "여전히 뭔가 찾아나가는 시기인 만큼 다양한 주제와 변주로 몸에 관한 작업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30일까지 공유갤러리에서 계속된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