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예금 금리가 3%대로 지속됨에 따라 많은 고객들이 은행 예금에 대한 매력을 잃고 투자처를 고심하고 있다.
최근의 저금리 현상은 글로벌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기준금리를 대폭 인하한데 있고, 이러한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이런 저금리 시대에 금리에 대한 민감도는 경제전문가나 기업가, 펀드매니저들만이 아니라 서민들에게도 매우 민감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렇다면 금리의 향방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은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금리가 오르지 않을 경우 첫 번째 치명적 인플레이션 우려가 있으므로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가 올라야 한다.
두 번째는 시장에 유동 자금이 너무 많기 때문에 금리를 올려야 하고, 세 번째는 예금이자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 금리가 올라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금리가 현재와 같은 저금리 시대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부분인데, 첫째는 대출금 이자를 내고 있는 가계대출자들의 생활이 어려워지면 부실 대출이 증가하고, 서민경제가 경색되는데 있다. 둘째는 우리나라의 화폐 가치가 상승하여 수출에 발목이 잡히고, 세 번째는 외국인들의 국내 투자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증시 안정을 위해서도 금리가 올라서는 안 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정부는 시장을 위해서 어느 쪽을 더 선호할 것인지 정책 결정자의 시각에서 바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과 같이 저금리 시대에는 은행 예금만 해서는 자산 형성을 하기가 무척 어렵다. 적극적인 자산 형성을 위하여 주식이나 펀드와 같은 투자 상품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자산 규모가 점점 커짐에 따라 세금도 역시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되는데 현재 우리나라는 주식이나 주식형 펀드에 투자할 경우 투자 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식매매차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있어 절세를 할 수 있는 방안이 되기도 한다.
또한 다소 위험성이 있는 투자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원금 보장이 되면서 주가 상승이나 주가 하락에 따라서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지수연동예금(ELD)과 같은 상품에 가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금융 상품을 가입할 때는 금리가 상승할 때와 하락할 때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우리는 현재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고, 세계 어느 한 국가의 금융회사에 문제가 생기면 전 세계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세계 속에 있다. 따라서 자산 형성에 대한 트렌드 변화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은행 정기예금만 가지고도 재테크가 가능했지만, 현재는 투자 상품을 병행하지 않고서는 자산 형성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 갈 수가 없다.
투자에 실패하지 않는 방법은 투자성향을 분석하고 본인에게 맞는 자산배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재테크에 있어서 한 번에 성공한다는 바쁜 생각보다는 오늘보다 나은 재테크의 성장을 기대한다면, 조급했던 마음이 너그러워 질 수 있을 것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