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보육시설·병원 '실내공기 더 나빠'

공기질에 민감한 어린이와 환자를 수용하는 보육시설과 의료기관이 오히려 실내 공기질 기준을 벗어나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해 다중이용시설 9천213곳 중 16%에 해당하는 1천514곳을 추려내 실시한 실내공기 오염도 검사에서 52곳(3.4%)이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을 초과했다고24일 밝혔다.

 

초과시설은 보육시설 20곳, 의료기관 18곳, 대규모 점포 5곳, 미술관 2곳, 목욕탕 2곳 등의 순이었다.

 

보육시설의 총부유세균 검출량은 평균 488.6CFU/㎥(기준치 800CFU/㎥)로 다른 다중이용시설을 포함한 평균치 405CFU/㎥를 상회했다.

 

이산화탄소도 585ppm(기준치 1천ppm)으로 전체 평균(536.4ppm)을 웃돌았다.

 

의료기관의 이산화탄소 검출량도 평균 562.8ppm(기준치 1천ppm)으로 전체 평균(536.4ppm)을 상회했다.

 

이밖에 미세먼지(전체평균 55.3㎍/㎥)는 실내주차장(68㎍/㎥), 지하역사(61.2㎍/㎥), 버스터미널(60.9㎍/㎥)에서 높게 검출됐다.

 

폼알데하이드(전체평균 24.9㎍/㎥)는 전시품의 영향이 큰 미술관(284.1㎍/㎥)과박물관(46.7㎍/㎥)에서 높았다.

 

환경부는 다중이용시설 9천213곳의 실내공기질 관리 실태를 점검한 결과, 81곳(0.8%)에서 관련 법령이 정한 실내공기질 관리 의무를 위반해 과태료를 부과하고 개선명령을 내렸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를 토대로 오염물질별 취약시설군을 선정해 중점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연내에 관련 법률을 개정해 저가의 목질판상제품 및 건축자재 등 실내공기 오염원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고창심덕섭 고창군수, 김병기 원내대표·한병도 예결위원장 만나 지역 핵심사업 건의

정치일반정년 1년 늦추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미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