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초중고생 '오래달리기' 9년전比 50초↓

서울지역 초·중·고등학생의 2009년도 '오래달리기' 성적이 2000년도 학생들의 기록과 비교해 최대 50초가량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윗몸일으키기', '제자리멀리뛰기' 등 대부분의 측정항목도 하향추세가 뚜렷해 학생들의 체력저하 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음을 반영했다.

 

13일 연합뉴스가 서울시교육청의 '2000~2009학년도 서울교육통계연보'에서 초5,중2, 고2 학생의 체력·체격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의 신장은 9년 전과 비교해 2~3㎝, 몸무게는 2~3㎏ 증가했다.

 

키는 남학생은 초5 144.5㎝(2.2㎝ 증가), 중2 165㎝(1.7㎝ 증가), 고2 165.2㎝(0.4㎝ 증가)였고, 여학생도 학교급 별로 1~2㎝가량 커졌다.

 

남학생 몸무게는 초5 41.5㎏, 중2 58.6㎏, 고2 67.2㎏ 등으로 9년 전보다 각각2.9㎏, 3.1㎏, 2.5㎏ 늘었다.

 

여학생은 초5, 중2가 2~3㎏가량 늘어난 반면 고2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학생들의 체력은 거의 모든 측정항목에서 하향세가 뚜렷했다.

 

남학생 '오래달리기'(초 1000m, 중·고 1600m)의 경우 2000년도 초5 6분11초,중2 8분44초, 고2 7분49초 등 이었지만 2009년도에는 각각 6분31초, 9분23초, 8분25초 등으로 최대 40초 가량 기록이 떨어졌다.

 

여학생도 각각 6분55초, 8분39초, 8분11초 등으로 9년 전과 비교해 평균기록이 최대 50초가량 늦춰졌다.

 

중·고 여학생 대상 '오래달리기' 측정거리는 1천200m다.

 

'제자리멀리뛰기'는 초5(148.6→151.7㎝)를 제외한 중2(210.7→195.3㎝), 고2 (236→216㎝) 기록이 크게 떨어졌고 '윗몸 일으키기'도 남여학생 모두 2~3개 정도 줄었다.

 

이밖에도 신체 유연성을 측정하는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에서 남학생은 5학년을 제외한 중2, 중3의 기록이 과거보다 3㎝정도 줄었다.

 

여학생은 대체로 상승세를 보였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측정결과가 학생들의 체력저하 현상을 반영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평가가 성적에 반영되지 않다 보니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아 기록이 잘 나오지 않은 측면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작년 2학기부터 비만도, 지구력 등 학생들의 전반적인 체력상태를 학부모가 손쉽게 파악하고 맞춤형 처방을 제공받을 수 있는 새로운 체력평가 프로그램을 도입했다"며 "앞으로 상황은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의 학생 1인당 체육장 면적은 초·중학생의 경우 매년 증가한 반면 일반고교는 30년 전보다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2010년 초·중학교의 1인당 체육장 면적은 각각 14.4㎡, 12.6㎡로 30년 전인 1980년의 10㎡, 8.6㎡에 비해 증가했지만 일반고교는 1980년(10.8㎡)보다 줄어든 10.5㎡에 불과했다.

 

이는 입시교육 풍토에서 일선 고교들이 교과학습 위주로 시설을 늘린 데 따라 빚어진 현상으로 추정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