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황사가 감기증상 유발하고 악화시켜"
황사에 노출되면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생기거나 기존의 감기가 악화될 수 있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규명됐다.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용주 교수팀은 가장 흔한 감기 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rhinovirus)와 황사의 상관 관계를 연구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2일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흡입 독성학(Inhalation Toxicology)' 최신호에 실렸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사람의 코 점막에서 떼어낸 상피세포를 배양해 △황사에 노출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 △황사에 노출시킨 세포 △리노바이러스에 노출된세포 △리노바이러스 감염 후 황사에 노출시킨 세포 등으로 나눠 감기와 관련된 염증물질(IFN-γ, IL-1β, IL-6, IL-8)의 분비량을 측정했다.
이 물질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방어 차원에서 자신과 똑같은 염증 매개 물질을 많이 복제해 내고 분비량도 증가시키는 원리를 이용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만약 복제율과 분비량이 올라갔다면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를 보여주는것이고, 그 수치가 높을수록 증상이 더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 결과, 어떤 것에도 감염되지 않은 세포의 염증물질 복제율을 100%로 봤을때 황사에만 노출된 세포는 140~175%, 감기바이러스만 노출된 경우는 123~164%의 수치를 보였다.
특히 감기 바이러스 감염 후 황사를 노출시킨 경우에는 151-337% 수준으로 수치가 급상승해 아무것도 노출되지 않은 상피세포에 비해 약 2~3배 정도 많은 염증 매개 물질을 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각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량도 각각 황사와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된경우에 증가했으며, 감기 바이러스 감염 후 황사 미세먼지에 노출된 실험군에서는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분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더욱이 황사와 감기 바이러스 모두에 노출된 경우에는 감기 바이러스에만 노출된 경우에 비해 감기 바이러스의 증식이 약 27.5배 가량 더 증가했다.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추측으로만 알려져 왔던 황사의 위해성을 실질적으로 규명한 첫 연구성과"라며 "황사 노출의 위험성이 확인된 만큼 감기환자라면 심한 황사에는 외출을 삼가고, 귀가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은 물론식염수로 코와 목도 세척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http://blog.yonhapnews.co.kr/scoopkim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