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2011 전주국제영화제] 전주영화제 '포커스'에 초대된 이명세 감독

전작 볼 수 있는 특별전 마련 "'M' '형사' 더 애착"…차기작 설경구 주연 첩보물 "한국판 007 만들 것"

 

'스타일리스트' 이명세 감독에게 〈형사:Duelist〉(2005)와 〈M〉(2007)은 전혀 다른, 그러나 가장 애착이 가는 영화다. 〈형사…〉는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여형사와 자객의 숙명적 대결을 최소한의 서사로 그리면서 모든 힘을 이미지에 쏟은 작품라면, 〈M〉은 천재 소설가의 첫 사랑의 기억을 정제된 이미지로 풀어낸 작품.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의 '포커스'에 초대된 그의 전작 8편 중 이 두 작품이 주목을 받는 것은 그를 새로운 경지에 올려놓은 기념비적인 작품이기 때문이다. 모든 관객과의 대화(GV)에 참여한 그를 만났다.

 

"지금까지로 친다면 내 전작을 튼 곳은 전주영화제가 처음이네요. 와서 막걸리나 마시면서 놀다 가야겠다 했는데, 관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는 소식을 들으니 고맙고 기쁘더라고요. 마치 잃어버린 자식을 찾은 것 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새로운 시각으로 나의 옛 작품들을 보는 관객들의 눈이 재밌다고 느꼈습니다."

 

 

 

 

〈형사:Dueilst〉는 제목 'Dueilst(결투자)'에서도 암시되지만 영화와 그가 맞붙어본다는 생각으로 제작했던 영화. 영화적 움직임의 가능성, 이야기를 떠나 이미지로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 하지만 이 영화는 관객과의 소통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는 "'정말 소통의 문제인가'라는 생각에 오히려 더 밀고 나가 극대화해 본 게 〈M〉"이라고 했다.

 

"이미지로 이야기를 만드는 게 영화예요. 이를테면 이 인터뷰를 그냥 찍으면 다큐멘터리 같은 내러티브죠. 하지만 대사를 다 빼고 찍을 수도 있어요. 인터뷰의 흐름과 느낌, 주변의 공기까지 다 담아야 하죠. 영화는 그런 느낌을 전달하는 매체입니다."

 

이렇듯 '전달되는 내용' 보다 '전달하는 방식'이 언제나 더 중요하다고 믿는 그는 얼마나 많은 장면을 정성 들여 화면에 옮겼는가가 중요하다. 〈나의 사랑 나의 신부〉(1990)에서 최진실이 문득 버스를 타고 어디론가 가는 장면이나 〈인정사정 볼 것 없다〉(1999)의 계단 장면, 〈M〉의 일식집 인테리어 장면 등이 그렇다.

 

〈M〉은 〈첫사랑〉(1993)과도 겹쳐지는 영화. 〈첫사랑〉 흥행 실패 후 작심하고 다시 만들었다. 꿈과 현실, 산 자와 죽은 자의 경계를 모호하게 넘나든 작품. 〈개그맨〉(1989)이 한 번의 꿈으로 작품 전체를 감쌌다면, 〈M〉은 영화 한 편을 아예 깨지 않는 꿈처럼 만들었다. 그에게 많은 영감을 가져다 주는 알파벳'M'은 주인공 민우의 'M', 주인공 미미의 'M'으로 표현되기도 했다.

 

그의 다음 영화가 어떤 모습일 지 상상하는 건 무리다. 그는 언제나 새로운 영화를 꿈꾸기 때문이다. '스타일의 승리' 혹은 '이야기의 몰락'이라는 이분법된 논리로 이야기하는 평단의 반응이 아직 하나로 모아지지는 않지만, 그는 전혀 다른 길 위에 서 있다.

 

그는 차기작으로 준비하는 것은 설경구가 주연으로 출연하는 첩보물 미스터 K. 그는 "한국판 007이 될 것"이라며 "아마도 이것이'대중예술'(Mass Media)로서의 또 다른 'M'이 될 것 같다"고 웃으며 말했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7명 매몰 추정"

정치일반전북도, 관광 슬로건 공모 ‘HEY! 전북여행’ 최우수상 선정

영화·연극제4회 민족민주전주영화제 14일 개막

완주‘모악산 웰니스 축제’서 힐링‧낭만을

장수장수군, 홍보대사 최재명 참여 홍보송 ‘장수좋다’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