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단추형 건전지 삼키면 '합병증' 주의"

아이들이 TV 리모컨이나 장난감에 많이 사용되는 '단추형 리튬 전지(button type battery)'를 갖고 놀다가 무심코 삼킬 경우 자칫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에 따르면 매년 이 병원에서만 40~90명의 아이가 단추형 전지를 삼켜 응급실을 찾고 있다.

 

이 중 식도에 전지가 걸린 채 도착해 내시경으로 제거되는 경우는 절반 정도에 달했다.

 

병원 측 자료를 보면 응급 내시경으로 전지를 제거한 아이들은 2008년 약 40명,2009년 약 20명, 2010년 35명, 2011년 상반기 17명 정도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전체로 보면 단추형 전지를 삼켜 병원을 찾은 아이가 연간 300명 이상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6세 미만의 아이들이 단추형 전지를 삼켰다는 보고가 매년 3천500건 정도 보고되고 있다.

 

문제는 전지를 삼킬 경우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이 최근 단추형 전지를 삼켜 응급실을 찾은 3명의 아이를 분석한 결과 대개 열과 기침, 구토 증상을 호소했고, 식도에 걸려있는 경우에는 단추형 전지를 제거하는 응급내시경 시술을 받았다.

 

특히 두 명의 어린이는 전지를 삼킨 후 4시간이 넘어 기관 재건술과 식도 재건술을 받는 등 회복에 3~5개월이 걸렸다.

 

반면 전지를 삼킨 뒤 2시간 30분 안에 병원을 찾은 아이는 응급 내시경으로 단추형 전지를 제거하고 별다른 처치 없이 일주일만에 회복했다.

 

단추형 전지가 몸속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누전으로 조직에 전기적 화상을 입히기 때문이다.

 

또한 식도나 위장관계에 들어가면 화학반응을 일으켜 성대와 식도, 혈관 등에도 손상을 줄 수 있다는 게 의료진의 설명이다.

 

더욱이 식도에 걸렸을 경우에는 누전에 의한 손상뿐 아니라 식도 벽이 전지 때문에 눌려 생기는 '압력괴사'도 발생할 수 있다.

 

조기에 제거하면 별 탈 없이 회복하지만, 시간이 늦어지면 식도 등 장기에 천공을 유발하고, 심각한 경우 대동맥 손상으로 이어져 사망에 이르기까지 한다.

 

이는 과거 아이들이 갖고 놀던 수은전지와 달리 최근에는 리튬전지 사용이 증가하면서 위험이 더욱 커진 탓이다.

 

이중에서도 지름 2㎝ 정도의 전지는 4살 이전 아이들의 식도에 걸리기 쉽다고 의료진은 지적했다.

 

의료진은 "미국에서는 생후 13개월 된 아이가 호흡기 감염 증세로 입원해 바이러스로 인한 폐렴 진단을 받았지만, 방사선 촬영 결과 식도에서 단추형 전지가 발견됐다"면서 "삼킨 지 이틀 만에 전지를 제거했지만 식도 발생한 화학반응으로 대동맥에 영향을 미쳐 결국 사망한 경우도 있다"고 소개했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외과 한석주 교수는 "전지를 삼킨 후 늦어도 4시간 이내에 제거하지 않으면 식도 손상이나 천공 또는 대동맥 파열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만약 전지를 삼킨 아이가 통증이나 기침,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일 경우 바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문제는 이 같은 위험에도 단추형 전지에 경고문구조차 제대로 되어붙어있지 않다는 점"이라며 "단추형 전지를 쓰는 리모컨이나 장난감의 덮개 부분이 아이들이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도 개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