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사회복지공무원 처우 개선" 목소리 확산

전북희망나눔재단 등 정부에 대책마련 촉구

속보= 최근 경기도에서 발생한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자살 사건과 관련, 전북지역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처우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본보 3월 6·7·11일자 6·7면 보도)

 

사)전북희망나눔재단은 11일 "최근 경기도에서 사회복지 공무원이 과도한 업무로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 같은 사건이 전북에서도 되풀이 되지 말라는 보장이 없어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정부와 자치단체는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처우개선에 즉각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 단체는 논평에서 "우리나라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은 국제노동기구(ILO)가 권장하는 적정 노동시간 40시간을 초과하기 일쑤"라며 "이는 사회복지 공무원 1명이 감당해야 할 인원이 OECD국가 평균 보다 3배 많은 1000명에 달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단체는 이어 "전북의 경우 사회복지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1354명인데 이는 정원도 채우지 못하는 수준"이라며 "이로 인해 전북지역 사회복지 공무원들은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고, 이직을 고민하는 등의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사회복지직의 자살사건이 우리 사회 취약계층을 돌보고 전 국민의 복지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밤낮없이 활동하는 사회복지직의 근로환경, 안전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사회복지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사회복지사협회도 성명을 내고 "정부는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의 근무환경 개선과 처우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과도하게 집중된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업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현행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는 복지공무원의 희생만을 강요하고 있다"며 "이 같은 전달체계를 이번 기회에 뿌리부터 뜯어 고쳐, 국민에게 양질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공복지전달체계 종합대책을 수립하라"고 주장했다.

 

한편 전북일보는 올 1~2월 경기도 성남과 용인에서 발생한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자살사건을 계기로, 전북지역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획보도를 진행했었다.

박영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