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행정연수원 교육 시작뒤 혁신도시 주변 원룸 '귀한 몸'
혁신도시 이전 효과가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지방행정연수원 이전으로 전주시 효자동과 중화산동 원룸이 인기다. 지방행정연수원 교육생들이 기숙사보다 원룸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내 전역에 일었던 원룸 투기현상의 거품이 빠지고 있는 동시에 이제 원룸은 '귀한 몸'으로 까지 불리고 있다.
지난 2009년 전주시내 원룸은 4905동(누계·3만2348가구)이 지어졌으며, 2010년에는 5514동(3만8186가구)으로 증가했다.
2011년에는 6275동(4만5014가구)으로 크게 늘었고, 2012년말 6745동(4만9247가구)으로 증가하면서 도심이 원룸으로 가득차 투기를 부추기고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특히 지난해 중순부터 원룸 물량이 남아돌아 원룸시장에 거품이 쌓였다는 분석이 나왔지만 올 초부터는 다시 원룸이 가득 메워지기 시작한데 이어 추가로 건설에 나서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이는 전북혁신도시에 최초로 입주한 지방행정연수원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지방행정연수원의 교육 일정은 단기·중기·장기로 분류, 최장 10개월까지 연간 2만여 명이 교육받는다.
하지만 전북혁신도시는 이제 건설 중인 개발지구로 숙박이나 교통·상권·교육 등의 인프라가 전혀 갖춰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교육생들은 정주 여건이 갖춰진 서부신시가지나 효자동 전주대 인근 원룸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설명이다.
실제 지방행정연수원 기숙사의 정원은 308명이지만 현 수용인원은 20명(6.5%)에 불과하다. 중장기 교육생 대부분이 기숙사보다는 인근 지역 원룸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 전주 효자동 일대의 원룸 월세는 보증금 300만원에 월 25~30만원의 가격이 형성돼 있는 반면 오피스텔 월세는 보증금 2000만원에 월 50만원에 거래되는 등 가격차가 커 원룸이 인기다.
전북혁신도시에 지방행정연수원 한 곳만 들어왔을 뿐인데 침체된 전주지역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원룸 신축을 준비하려는 이들은 많지만 부지가 없어 혁신도시 일대 외곽지역 토지매매 문의가 급증한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설명으로 당분간 정주여건이 마련되지 않은 이곳 일대의 땅값이 요동칠 것으로 전망된다.
전주 서부신시가지내 한 공인중개사는 "요즘 서부신시가지나 효자동 일대 지역의 원룸을 찾기 힘들 정도로 '귀한 몸'이 됐다"며 "이는 정주여건을 갖추지 못한 전북혁신도시를 탈피해 인근 지역을 선호하는 경향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다른 공인중개사도 "현재 전북혁신도시 인근의 토지를 매입하려는 사람들의 움직임이 바빠지기 시작했다"며 "이는 대부분 원룸을 지으려는 생각으로 자칫 땅값 상승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