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유형문화재 지정 '이덕응·신기영·조병순 초상화' 새롭게 관심

▲ 수당 이덕응 초상화

지난 18일 전주 경기전 하마비 등과 함께 전북도 유형문화재 제224~226호로 지정된 이덕응·신기영·조병순 초상화가 새롭게 관심을 끌고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초상화는 구한말 유학자 이덕응 선생의 금관조복 입상· 유복 좌상·평복 좌상 등 3점이며, 이덕응 선생의 제자 신기영 평복(제225호)과 제자 조병순 평복입상(제226호) 등 2점이 함께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진안군의회 이부용 의원이 소장한 이 문화재는 석지 채용신(1850~1941) 화백이 1916년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 화양도원에서 4개월동안 그린 초상화로 작품성이 뛰어나 한국미술사에 높이 평가되고 있다.

 

특히 금관조복의 초상화(전신입상)와 제자 신기영상(전신입상), 조병순상(전신입상)은 야외 정경을 배경으로 한 유일한 입상으로 형상화한 특이한 작품으로 채용신 초상화에서 처음 작품이 아닐까 추정되고 있다.

 

후손들은 100년동안 이 초상화를 창호지에 말아 오동나무 상자에 넣어 책장에 보관하면서 1년에 한번씩 대청마루에 내걸고 통풍을 시키는 방법으로 오늘날까지 원형 그대로 보존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생의 초상화가 문화재로 지정됨에 따라 한국전쟁 때 소실된 화양도원 복원 등 생애에 이루지 못한 선생의 유업을 이룰 수 있어 이 지방 유림과 후손들이 크게 반기고 있다.

이재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국회 산중위 전북정치권 공백…AI·에너지 현안 출혈 불가피

국회·정당국회, 내년도 예산안 종합정책질의 시작

사람들데이터로 도시를 짓다…전북 건축문화상 학생부문 대상 전주대 박인호 학생

정치일반李대통령, 울산 매몰사고 “인명구조에 가용자원 총동원하라”

정치일반전북, 1조 원대 ‘피지컬 AI’ 상용화 사업 전 실증사업 마무리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