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남북 산야·섬 들꽃 사진 1727장 오롯이

오영상 씨 〈전라도 야생화〉

전라지역의 야생화를 한 권에 담은 책이 나왔다. 20여년간 야생화를 촬영한 오영상 씨(54)는 662종의 사진과 설명을 모아 <전라도 야생화> (영민기획)를 펴냈다.

 

저자가 전남북의 산악형 국립공원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섬을 찾아 기록한 1727장의 컬러사진으로 구성했다. 목본 135종과 초본 527종을 각 종마다 잎, 열매, 군락 등 2~3장의 사진으로 나눠 700여쪽에 걸쳐 게재했다.

 

지리산의 복주머니란, 덕유산의 광릉요강꽃과 내장산의 백양더부살이와 진노랑상사화, 변산반도의 미선나무,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지네발란과 황근 등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식물과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아 수십 종 포함됐다.

 

더불어 식물의 과명, 학명, 개화기 등을 소개하며, 기존의 일본식 한자어 대신 우리말로 설명해 학습자료로 활용하도록 했다. 또한 50여종의 야생화에는 QR(큐알)코드를 실어 독자가 스마트폰을 대면 해당 야생화의 동영상도 볼 수 있다.

 

저자는 지난 1988년부터 전남일보, 광주매일, 굿데이신문 등에서 근무한 뒤 국립공원관리공단의 홍보담당관을 지냈다. 귀농 5년째인 그는 현재 해남에서 숲해설가와 환경부 환경교육홍보단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광주생명의숲 홍보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무등산야생화> (2002년), <전라도탐조여행> (2004년), <땅끝해남의 자연자원> (2011년)이 있다.

이세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