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레미콘업계 경영난 심각

지난해 전체 출하량 전년보다 7.4% 감소 / 공장 가동률 19%…전국 평균 26%와 격차

전북지역 레미콘업체들이 레미콘 출하량 감소로 심각한 경영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미콘업계가 집계한 ‘2015년도 지역별 레미콘 출하실적’을 보면 전국 1,001개 레미콘업체의 총 출하량은 1억5252만㎥로 전년 대비 11.8%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191개사)이 5,770만㎥로 전체 출하량의 37.8%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18.5% 증가했고 대전·세종·충남권(114개사)이 1,612만㎥로 10.6%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8.6% 증가했다.

 

경남(98개사)도 전체 출하량의 8.6%인 1,317만㎥를 출하, 전년 대비 14.9% 증가했으며 경북(133개사)도 전체의 8.6%에 해당하는 1,311만㎥를 출하해 전년 대비 8.7%의 신장률을 보였다.

 

부산(32개사) 또한 전체 출하량의 5.4%인 817만㎥를 출하하며 전년 대비 20.2% 증가했으며 전체 출하량의 4.7%인 720만㎥를 출하한 충북(62개사)도 전년 대비 7.1%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강원(128개사) 역시 전체의 4.5%인 682만㎥를 출하하며 전년 대비 14.4% 증가했고 전체의 4.0%인 609만㎥를 출하한 대구(25개사)도 전년 대비 9.0% 증가했으며 제주는 전체 출하량의 2.2%인 337만㎥를 출하해 출하량으로는 가장 적었지만 전년 대비 증가율은 전국 최고인 22.2%를 기록했다.

 

반면 전북(70개사)은 업체 수가 적은 부산과 충북, 대구보다 출하량이 적은 604만㎥에 그치며 전년 대비 7.4%가 감소, 광주·전남(-0.5%), 울산(-7.1%)을 뛰어넘어 전국에서 가장 감소율이 높았다.

 

특히 전북의 전국시장 비중은 2013년만 해도 5.5%로 충북, 강원, 대구보다 높았으나 2014년 출하량이 전년 대비 13.8% 급감하고 지난해에도 감소하면서 4.0%로 추락해 도내 레미콘업체들의 경영난이 가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도내 레미콘공장 가동률은 전국평균 26%에 크게 못미치는 19%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전북지역 레미콘 출하량이 감소세를 보이는 것은 삼성, OCI 등 대기업의 도내 유치가 난관에 직면하고 지역 최대 국책사업인 새만금개발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한 여파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강현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자치도, 재생의료특구 지정 위한 특별법 개정 본격화

정치일반새만금산단 입주기업, RE100 실현 ‘첫발’…태양광 발전설비 준공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