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20:11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19대 대통령 선거
일반기사

[7대 대선공약 주요 내용] 새만금 개발방향·전북정체성 강화 제안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 글로벌 스포츠 콤플렉스 / 신항 국가식품클러스터 / 한국인 테마파크 / 국립 우리문화치유공원 / 농식품컨벤션센터 구축 / 섬진강 생태벨리

▲ 13일 전북일보와 새만금새전북21전북포럼·정책행동-전북 앞으로가 공동 주최한 7대 대선공약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이 대선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안봉주 기자

전북일보와 새만금새전북21전북포럼·정책행동-전북 앞으로가 공동 주최한 7대 대선공약 발표 세미나에서는 새만금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 전북정체성을 강화하는 사업들이 공약으로 제안됐다. 전문가들이 제안한 7대 공약의 자세한 내용을 살펴본다.

 

△새만금 개발 방향

 

허훈 전 고려대 공대 학장이 제안한 ‘새만금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는 새만금에 민간주도 항공우주산업 발전 기반을 확보하자는 것이 뼈대다. 새만금에 항공산업용 전용 활주로 및 지원시설, 항공우주 산업단지 및 항공우주 창업 보육센터, 항공우주연구소 새만금 분원, 미래 우주항공용 활주로 보존구역 및 항공레저단지 등을 제안했다. 광대한 부지와 지역 내 우수한 기술인력을 활용해 새만금을 우주관광 사업과 우주로 진출하는 출입구로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허 전 학장은 또 새만금 내에 초경량 항공기와 소형 항공기 완제기를 제조하고, 탄소 섬유기반 항공우주 부품을 만들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항공우주 관련 부품 산업단지와 스타트업 지원 시설, 관련 연구개발 기반 구축으로 국가차원의 과학기술 발전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렴한 땅값과 접근성 등을 고려해 새만금 지구에 스포츠 복합시설을 구축, 열린 생활체육·레저·관광 단지로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눈길을 끌었다.

 

한승진 을지대 교수는 ‘새만금 글로벌 스포츠 콤플렉스’를 제안했다. 새만금 관광지구 일대에 실내경기장, 국제스포츠학교, 아웃도어 스포츠 시설 등을 구축하자고 주장했다.

 

정석훈 전 전북개발공사 사장은 새만금 배후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물동량 소화와 지역 전략사업인 농식품산업 활성화를 위해 새만금 신항의 기능을 대폭 수정, 농식품 수출입항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신항 국가식품클러스터(Ⅱ)’를 주장했다. 농식품 수출입항의 주요 시설로는 곡물부두, 사일로, 컨테이너부두, 곡물가공식품 산업단지가 꼽혔다.

 

△전북 정체성 특화 정책

 

임개호 (주)엠엘 부사장이 제안한 ‘한국인 테마파크’는 전북을 해외동포와 미래세대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 구축하자는 것이다. 한옥마을과 전통문화시설 등을 연계, 테마박물관·문화체험장·유스호스텔·한국인 사람의 숲 등을 조성하는 것이 내용이다.

 

양옥경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가 대표 발제한 ‘국립 우리문화치유공원’은 문화를 치유 콘텐츠로 개발하는 것이 골자다. 전북은 역사와 문화전통, 예술, 자연 등 몸과 마음을 어루만질 수 있는 자원이 풍부해 이를 치유산업으로 연계하자는 것이다. 완주에 친생태형 다기능·다목적 복합공간 설립을 제시했다.

 

박수진 도시·지역마케팅연구원 이사가 제안한 ‘전주세계한식대회’는 음식창의도시 전주의 경쟁력을 발전동력으로 이어내자는 아이디어다. 특히 이 사업은 본식품전용 컨벤션센터 구축을 포함하는 것으로, 세계한식경진대회와 한식산업박람회 개최 등을 추진할 수 있다.

 

황태규 우석대 교수가 대표 발제한 ‘섬진강 생태밸리’는 옥정호 생태자연환경 자원을 적극 활용한 학습 및 체험, 숙박, 회의 등을 위한 창조적인 생태환경교육 거점 공간을 조성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또, 생태캠핑장과 내륙 수상스포츠 센터 건립·산림 어드벤처·섬진강 바이크 등을 통해 섬진강을 생태휴양벨트로 육성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명국 psy2351@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