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관광브랜드공연 뮤지컬 '홍도'] '정여립 대동사상' 설득력 부족

전작보다 진행·연출력 매끄러워져
공연 전반 무겁고 대사 전달 아쉬워

▲ 지난 27일 전북예술회관에서 열린 뮤지컬 ‘홍도’ 공연 모습.

전북관광브랜드공연은 ‘홍도’와 ‘자치기’의 만남과 이별, ‘정여립’의 대동사상 그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

지난 27일 오후 4시 전북예술회관에서 전북관광브랜드공연 뮤지컬 ‘홍도’가 개막했다. ‘춘향’(2013~2016)과 ‘떴다 심청’(2017)에 이은 세 번째 작품. ‘홍도’는 판소리계 소설이 아닌 혼불문학상 수상작을 원작으로 했다는 점, 원작이 전북의 역사적 인물인 정여립(1546~1589)을 다룬다는 점 등 그 자체로 의미하는 바가 크다.

‘홍도’는 시간과 공간적으로 과거와 현재, 전주한옥마을과 조선시대 한양이 혼재돼 있다. 입체영상, 홀로그램과 같은 디지털 영상기법을 무대와 결합해 이 한계를 극복했다. 전체적인 작품 진행이나 연출도 전작들에 비해 매끄럽다는 평가다.

그러나 전북관광브랜드공연이라고 하기엔 무겁다는 게 중론이다. 전북도민들과 관광객들 누구나 저녁 시간대 즐길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제공한다는 전북관광브랜드공연의 취지를 상기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사업 취지와 작품 사이의 괴리가 가장 큰 문제.

‘홍도’는 원작의 홍도와 자치기의 사랑 이야기를 그대로 따라가면서 정여립의 대동사상을 보여주는 방식을 택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작품 근저에 흐르는 정여립의 대동사상을 쉽고 설득력 있게 전달하지는 못했다는 지적이다. 배우들의 미흡한 대사 전달력도 한몫했다.

문화예술계 관계자는 “주제와 전달 방식 모두 보여주고자 하는 사람 입장에서 만들어 과연 ‘관객이 보고 싶은 공연일까’라는 의문이 든다”며 “위인전처럼 설득하려는 정서를 버려야 한다”고 밝혔다.

문민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익산이리역 폭발사고 48주기, 소년의 눈으로 익산을 되짚어 본다

문화재·학술2025년 역사학회 연합학술대회 개최

전시·공연현대 한국 여성 서예 중진작가전 ‘어머니의 노래’ 개최

정치일반새만금 신항만, 국내 8대 크루즈 기항지로

전북현대[CHAMP10N DAY] 전북현대 ‘우승 나침반’ 거스 포옛·박진섭이 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