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사회학자 노명우 교수가 풀어낸 ‘좋은 삶’

사단법인 마당 제190회 수요포럼 강연
함께 사는 삶 위한 ‘사회정의’ 강조

“좋은 삶의 길을 찾는다는 것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가 어떠냐는 질문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습니다. 모두를 동시에 바꿀 수 있도록 만드는 힘은 ‘정의가 지켜지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있습니다.”

사회학자 노명우 아주대 교수가 지난 14일 전주 한옥마을을 찾아 (사)마당 제190회 수요포럼 초청강연 마이크를 잡았다.

이날 노 교수는 ‘좋은 삶의 길을 찾다’를 주제로 인간은 어떤 존재이며, 어떻게 살아야 만족할 수 있는지, 또 혼자 힘으로 좋은 삶에 도달할 수 있는지 등을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풀어냈다.

먼저 노 교수는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에 대해 많은 대답들이 있다며, 사회학자의 입장에서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제시했다. 우리는 언제 어디에서 태어나야 할지 결정할 수 없는 ‘내던져진 존재’인 동시에 ‘갇힌 존재’라는 것.

그래서 “어떻게 좋은 삶을 살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질 때, 자신을 수련하고 다스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우리의 관심이 향해야 할 곳은 나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이 어떤 성격인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인간은 인간으로 태어났다기보다는 인간이 될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보는 것이 더 적합하다”며 ‘착한 사람이 언젠가는 복을 받는다는 표현도 사실이 아닌 경우가 더 많은 현실’을 생각할 때 “좋은 삶을 살아간다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노 교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을 통해 ‘개인으로서의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만족을 느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은 삶에 도달하기 위해서 4가지 요소를 갖춰야 한다고 했다”며 첫째 돈 버는 삶(이득), 둘째 향락적 삶(쾌감), 셋째 정치적 삶(인정), 넷째 관조적 삶(지혜)이 그것이다고 밝혔다. 특히 “좋은 삶을 살기 위해서는 누군가에게 의존하는 삶을 살거나, 노예와 같은 삶을 살아서는 안 된다”며 ‘자기 결정성’을 강조했다.

노 교수는 ‘유지하는 삶과 의미있는 삶’에 대한 국가별 가치관 조사 결과(1996년, 2008년, 2015년)를 제시하고, “같은 시대를 사는 사람들이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서 좋은 삶을 살 가능성이 결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이론적으로 유리함에도 협력이 이뤄지지 않는 이유를 ‘죄수의 딜레마’와 ‘악셀로드 교수팀의 실험’을 들어 분석했다.

노 교수는 강연을 마치며 “혼자 바뀌어서는 좋은 삶에 도달할 수 없다. 우리가 동시에 바뀌어야 한다”고 밝히고 “급하게 던져봐야 할 질문은, 우리가 과연 정의가 지켜지는 사회 속에 살고 있는가”라고 나지막하게 속삭였다.

노 교수는 <세상 물정의 사회학> , <인생극장> ,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을 꿈꾸다> 등을 펴냈으며, 지난 9월 서울 은평구 주택가에 작은 책방 ‘니은서점’을 열었다.

이용수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국회 산중위 전북정치권 공백…AI·에너지 현안 출혈 불가피

국회·정당국회, 내년도 예산안 종합정책질의 시작

사람들데이터로 도시를 짓다…전북 건축문화상 학생부문 대상 전주대 박인호 학생

정치일반李대통령, 울산 매몰사고 “인명구조에 가용자원 총동원하라”

정치일반전북, 1조 원대 ‘피지컬 AI’ 상용화 사업 전 실증사업 마무리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