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안성덕 시인의 ‘감성 터치’] 골목

볕 좋고 바람 좋은 곳에 터를 잡았습니다. 징검돌 놓듯 앞서거니 뒤서거니 들어선 집들, 집과 집 사이로 사람이 물처럼 흘렀습니다. 도랑물 흘러가듯 굽이굽이 골목은 모퉁이를 돌며 이어졌습니다.

골목은 주머니. 우리들은 왼쪽 모퉁이에 말뚝박기, 오른쪽 모퉁이에 고무줄놀이, 갈림길에 숨바꼭질을 넣어두었습니다. 막 거웃이 돋을 무렵이었을 겁니다. 뻐꾹 뻐꾹 시도 때도 없이 뻐꾸기를 날리던 형들이 구로동으로 날아가자, 온 동네 누님들도 따라 문래동으로 올라갔습니다. 담장 너머 빨랫줄에 팔랑거리던 정님이의 다후다 검정 치마도, 내 코피를 터뜨리던 수수꽃다리 분내도 골목을 빠져나가 어디론가 흘러가 버렸습니다.

골목 앞 우물가에서 빨래하던 젊은 어머니가 탈탈 주머니를 까뒤집었기 때문일까요? 한두 알 구슬도 서너 장 딱지도 이젠 없습니다. 약속 없이도 언제나 왁자하던 골목에 돌담 그림자 홀로 서성입니다. 돌담을 기어오른 담쟁이덩굴이 친친 한 세월 봉해 버렸습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익산동물의약품 규제자유특구 후보 익산, 미래 동물헬스케어산업 선도

문화일반전북과 각별…황석영 소설가 ‘금관문화훈장’ 영예

정부李대통령 지지율 63%…지난주보다 6%p 상승[한국갤럽]

사건·사고김제서 작업 중이던 트랙터에 불⋯인명 피해 없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오지마"…군산대 교직원 58% 이전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