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넘치는 치매환자, 전북 관리 인력은 턱없이 부족

도내 14개 치매안심센터 모두 기준인력 미충족
기준정원 대비 인력충원률 57.66%, 전국 시도 중 네 번째로 낮아
전주·군산·익산, 근무인력 1인당 치매환자수 1~3위 오명

문재인 정부가 ‘치매국가책임제’ 정책을 내놓은 지 2년이 됐지만, 고령인구가 많은 전북지역 치매안심센터는 여전히 극심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자유한국당 김승희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치매안심센터 근무인력 현황’에 따르면 도내 14개 치매안심센터 중 기준인력을 100% 충족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기준정원(359명) 대비 근무 인원은 207명(57.66%)에 그쳤다. 전북 치매안심센터의 인력충원율은 전국 17개 시·도 중 네 번째로 낮았다.

상대적으로 노인 인구가 많고 의료 인력이 부족한 지역의 충원율이 낮았다.

가장 낮은 곳은 강원(50.83%)이며 충북(54.42%), 대전(54.48%) 등이 전북과 함께 인력난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시도 평균충원율은 66.77%였다.

인구 밀도가 높아 치매환자가 많은 전주·군산·익산지역 치매안심센터의 상황은 더욱 좋지 않았다.

이들 지역은 근무인력 1인당 치매환자수 상위 5개 지역에서 나란히 1~3위에 올랐다.

특히 전주시보건소 내 치매안심센터는 근무인원(총 20명) 1인당 담당하는 치매환자가 443.7명에 달하는 등 고강도 업무에 시달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치매안심센터는 지역 단위에서 치매 조기검진과 예방활동, 맞춤형 환자관리 등을 제공하는 정부 정책의 핵심 기관이다.

각 지방자치단체 보건소에서 운영하고 예산은 보건복지부와 해당 지자체가 각각 80%, 20%(서울은 각각 50%)를 부담한다.

김승희 의원은 “세밀한 운영 계획 없이 무리하게 추진하다 보니 현장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지자체별 인력 부족 상황을 자세히 살핀 뒤 개선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명국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고창심덕섭 고창군수, 김병기 원내대표·한병도 예결위원장 만나 지역 핵심사업 건의

정치일반정년 1년 늦추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미뤄질 듯